교육업계, 3대 전략으로 브랜드 경쟁력 키운다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01면

최근 교육산업이 정부의 사교육 절감 정책 등으로 인해 전반적으로 부진한 모습을 보임에 따라 산업 자체가 한 단계 업그레이드해야 된다는 문제점이 제기되고 있다. 또 그동안 호황을 누려왔던 입시 위주의 사교육 시장은 점차 줄어들 것이며 이에 따라 교육업체들은 향후 다양한 영역으로 진화, 발전해 나가야 한다는 지적도 나오고 있다.

최근 대형 교육 업체들을 중심으로 부는 업계의 기상도는 ‘영역 파괴, 부문 혼재, 대형화’를 들 수 있다.

먼저 영역파괴는 중· 고등 전문 업체가 초등·유아, 심지어는 성인까지 모든 연령대를 아우르는 콘텐트를 개발해 서비스화하는 것이다.

부문 혼재는 기존의 학습지, 공부방, 방문학습 등 분리돼 있던 부문의 개념이 혼용되고 있으며 서비스 제공 기반도 온-오프라인 등 혼재된 형태로 나타나고 있다. 이에 따라 기존 시장의 강자들도 회원수가 답보상태이거나 매출이 점차 줄어들고 있다.

대형화는 교육업계가 변화를 통해 질적인 업그레이드 과정을 거치면서 일반 산업과 같은 형태의 프랜차이즈화하는 것을 의미한다. 또 규모가 커지는 만큼 일관성있는 교육철학을 홍보하기 위해 업체들이 브랜드화하는 경향을 띠게 된다.

이와 같이 전반적인 교육 수준의 업그레이드를 통해 브랜드 경쟁력도 높아진다는 것이다. 교육은 대한민국 국민이면 누구나 피해 갈 수 없는 필수 과정이며 역사 발전과도 맥락을 같이하고 있다. 산업화·민주화 시대를 거치면서 대한민국의 교육에 대한 열정은 전 세계에서도 가장 높다고 할 수 있다. 미국의 오바마 대통령도 공식석상에서 한국의 높은 교육열을 수차례 언급했을 정도다. 일본에서도 최근 한국에 비해 일본의 미국 유학생이 급감하고 있다며 때 아닌 유학장려 운동도 벌이고 있다는 소식이다. 하지만 교육열만 높다고 경쟁력을 갖출 수는 없다. 향후 세계적인 인재들과 치열한 미래전략을 논하기 위해서는 교육도 컨버전스 개념에 입각한 다양한 콘텐트 기반 위에 서야 한다.

이같이 교육산업의 미래를 예측·준비해 나가야 미래 교육 시장에서 선도자가 될 수 있을 것이다.

브랜드스탁이 조사·평가하고 중앙일보·연세대학교 경영연구소가 공동 후원하는 ‘대한민국 교육브랜드 대상’은 부문별로 가장 두각을 나타내고 있는 교육브랜드를 선정했다. 선정브랜드들은 교육 시장 변화를 능동적으로 주도하고 있다는 점에서 향후 성과가 더욱 기대되고 있다.

이번 ‘제8회 대한민국 교육브랜드’에서는 푸르넷공부방, 동아전과, 백점맞는시리즈, 제3교실, 진학어플라이, 푸르넷에듀, 와이즈만영재교육, Exam4Me, 유피학습, edm유학센터, 톰앤제니, 미국교과서 읽는 리딩, 새싹 인물전, 그레이트북스, 위트니영어, 자이스토리, 에듀모아, 빈코에듀, 위버지니어스, 한우리독서토론논술, 아발론교육, 인터파크도서, 한양사이버대학교, 올림피아드학원, SBS아카데미컴퓨터아트학원, MK어학원 등이 부문별 브랜드가치 1위로 선정됐다.

이정구 객원기자< bupdori@joongang.co.kr>

전문 패널 3만여 명이 500개 브랜드 평가

어떻게 뽑았나

‘대한민국 교육브랜드 대상’은 국내 교육산업의 전반적인 발전과 브랜드 경쟁력을 촉진시킬 목적으로 브랜드가치 평가 전문회사인 브랜드스탁이 제정한 교육브랜드 가치 평가 인증제도로서, 교육산업 부문별 브랜드가치 1위를 선정해 발표하고 있다.

제8회 대한민국 교육브랜드대상은 브랜드스탁과 연세대학교 경영연구소가 공동 개발한 KEBI(Korea Educational Brand Index) 모델에 의해 선정됐다. KEBI는 브랜드 인지도와 신뢰도를 측정하는 브랜드가치 평가 모델이며 각 브랜드의 친밀도·접근성·차별성을 통해 인지도를 평가하며 신뢰성·구입가능성 등을 묻는 방법으로 신뢰도를 평가, 지수를 산출했다. 이에 따라 각 교육산업 부문별 최고 점수를 획득한 브랜드가 ‘대한민국 교육브랜드 대상’에 선정되었다.

이번 조사는 브랜드스탁 리서치 전문 패널 3만여 명을 대상으로 지난 9월부터 10월까지 약 2개월에 걸쳐 이루어졌으며 조사대상은 각 경쟁부문 약 500여 개의 브랜드였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