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 View] 파워스타일 설치 미술가 최우람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15면

1994년 중앙대학교 조소과 재학 시절 최우람(40)은 그의 상상 속의 생물체를 기계적으로 조합한 작은 로봇을 설치미술 전시에 처음 등장시켰다. 당시엔 생소했던 ‘키네틱 아트’라는 장르의 작품 속에서 살아 움직였던 로봇들은 그 뒤 진화를 거듭했다. 도쿄 모리미술관, 미국 내슈빌의 ‘Frist Center for the Visual Arts’, 뉴욕 비트폼즈 갤러리, 삼성미술관 리움 등의 수많은 전시에서 ‘울티마 머드폭스’ ‘루미나 버고’ 등 생물학적 학명이 붙은 아름다운 그의 작품들이 전시됐다. 그가 의도한 대로 ‘도시의 에너지를 흡수하고 반응하면서’ 관객의 시각과 사고를 자극한 것이다. 이제 한국을 대표하는 ‘키네틱 아티스트’로 부상한 최우람은 인간적인 세계를 좀 더 심층적으로 표현하기 위해 인류 역사에서 가장 오래된 ‘신화’와 ‘종교’란 테마로 새로운 작품 활동을 펼쳐나가고 있다. 현재 과천현대미술관 ‘Made in Popland’전에 전시 중인 그의 신작 ‘신의 나무’는 내년 초 뉴욕 ‘아시아 소사이어티(Asia Society)’ 개인전에 새로이 소개될 ‘신전’ 시리즈의 첫 작품이기도 하다.

와이프 스타일

옷은 거의 다 부인이 사다 주는 대로 입는다. 이번 촬영에 필요하다고 해서 라벨을 처음 확인해 봤다. 가죽 점퍼는 ‘옴브루노’이고 , 청바지는 ‘게스’. 그리고 늘 편해서 신는 운동화는 캐나다 출신 배드민턴 선수 ‘잭 퍼셀’의 이름을 딴 ‘컨버스’. 머리는 집에서 이발하거나 동네 이발관을 가는데 편한 게 좋아서 거의 일정하게 6㎜ 삭발을 유지한다. 소지품이 있는 날이면 들고 나가는 갈색 메신저 가방은 ‘파슬’①인데, 속에는 악어가죽 케이스로 커버된 아이폰, 열쇠, 아이패드, 3단으로 빛의 강도가 조절되는 소형 플래시, 치실, 가죽 돈지갑, 그리고 두 개의 립밤이 들어 있다.

조종사가 되고 싶어

나이 들면 친구들과 가까운 섬 같은 곳을 여행하고 싶은 생각에 작년부터 인천공항에서 비행조종사 코스를 밟고 있다. 비행시간을 40시간 채우면 국내 자격증을 따는데 시간을 내지 못해 아직 세 시간밖에 못 했다. 외부 소음을 흡수하고 관제탑과 교신을 하는 데 쓰이는 헤드셋은 비행조종사의 필수품인데, 부인이 세계에서 가장 좋다는 ‘보스(Bose)’②제품을 해외 인터넷에서 구입해 주었다.

밤하늘을 쏘다

늘 지니고 다니 는 물건 두 가지가 있다. 만년필처럼 보이는 ‘포인터 레이저’와 ‘버어니어캘리퍼스’라고 불리는 디지털 측정기③다. 작품에 들어가는 재료의 외경·내경·깊이 등을 재는 데 사용한다. 포인터 레이저가 평범한 ‘포인터’와 다른 점이 있다면 50밀리와트의 초강력 빛을 쏠 수 있다는 것이 다. “작업을 하다가 휴식이 필요하면 베란다로 나가 밤하늘에 이걸 쏘아 보죠. 초록색 레이저 불빛이 일직선으로 쭉 나가면서 마치 별까지 닿는 것처럼 보이는 그 느낌. 너무 시원하고 좋아요.”

이네스 조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