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경제가 강해져야 글로벌 경제회복 도움“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01면

버락 오바마 미국 대통령이 11일부터 이틀간 서울에서 열리는 주요 20개국(G20) 정상회의를 앞두고 각 회원국 정상들에게 서한을 보내 “미국이 세계 경제의 회복을 위해 최대한 노력을 기울이겠다”고 밝혔다.

 오바마 대통령은 9일(현지시간) 보낸 서한을 통해 “미국 경제가 강하게 회복돼 일자리를 창출하고 소득과 소비를 만들어내게 되면 글로벌 경제 회복에 크게 이바지할 수 있을 것”이라며 “강력하고 지속 가능하며 균형 잡힌 경제회복이라는 공동의 목표를 독자적으로 이룰 수 있는 나라는 없다”고 강조했다. 또 “미국은 가계가 저축을 하지 않고 빚을 내 소비를 한다면 경제회복이 불가능하다는 것을 깨달았다”고 덧붙였다. 그는 10일 G20 정상회의 참석을 위해 서울을 방문했다.

 오바마 대통령은 G20 정상회의의 주요 안건인 경상수지 불균형 문제과 관련해 “미국이 크게 변해야 하는 것처럼 수출에 많이 의존해 온 다른 나라들도 변해야 한다”며 “선진국, 신흥 공업국, 무역수지 적자국 또는 흑자국들이 모두 노력한다면 높은 경제성장의 혜택을 누릴 수 있을 것”이라고 역설했다.

 그는 또 빈곤국 지원, 기후변화 대응, 부패 척결, 기업환경 등의 의제 설정을 주도한 한국에 대해 “이 같은 의제 설정을 주도한 이명박 대통령에 감사를 표하고 싶다”고 밝혔다.

 한편 오바마 대통령을 비롯한 G20 회원국 정상과 베트남 등 5개 초청국, 유엔 등 7개 국제기구의 수장은 11일 서울에 모여 이틀간 환율 전쟁, 금융개혁, 국제기구 개편, 금융안전망, 개발 등의 의제에서 세계경제를 구할 해법을 찾는다. 이에 앞서 10일 세계의 재계 거물들이 참석하는 서울 G20 비즈니스 서밋도 시작됐다.

 회의를 준비하는 G20 재무차관과 셰르파(교섭대표)는 이날에도 회의를 하고 이견을 조율했다. 사공일 G20 정상회의 준비위원장은 “우리 생각대로 70∼80% 정도가 이뤄졌다”고 말했다. 익명을 원한 정부 고위 소식통도 “환율 등 현안을 빼고는 큰 걸림돌이 없는 상황”이라고 전했다.

 특히 동반성장과 관련, 그동안 빈곤국에 자유시장 원칙을 설파했던 ‘워싱턴 컨센서스’를 대체하는 9개 항목의 ‘서울 컨센서스’가 추진된다. 핵심은 최빈곤국에 대해 선진국이 관세를 철폐해 무역장벽을 완전히 제거하는 것이다. 시혜적 원조보다는 저개발국의 실질적인 성장으로 빈곤을 해결토록 하자는 것이다.

 경상수지 가이드라인에 대해선 주요국이 여전히 날카롭게 대립하고 있다. 앙겔라 메르켈 독일 총리는 미국이 주장하는 경상수지 가이드라인을 “거론할 가치가 없다”고 일축했다.

허귀식 기자, 김정욱 워싱턴 특파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