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융합 통해 개발한 신제품 패스트트랙으로 인증 추진”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경제 07면

“한 우물만 파온 중소기업에도 융합이 필요할까?” 혁신적인 중소기업 경영자들의 모임인 ‘이노패스트’ 포럼이 11일 오후 서울에서 세 번째 모임을 갖고 융합을 통한 산업과 기업의 발전전략에 대해 토론을 벌였다.

이노패스트는 혁신 고성장을 일컫는 말로 딜로이트와 중앙일보가 지난해 말 각 분야에서 15개 이노패스트 기업을 선정한 바 있다. 선정된 기업의 경영자들은 포럼을 결성해 정기적으로 모여 산업과 경제계 이슈에 대해 토론을 벌여왔다. 이날 포럼엔 이동욱 지식경제부 성장동력정책과장이 참석해 산업 간 융합에 대한 정책을 소개했다. 그는 특히 지경부가 입법을 추진 중인 산업융합촉진법에 대해 설명했다.

이 과장은 “아이폰 쇼크로 산업 간 융합의 중요성을 새삼 느꼈다”며 “개별 산업에 대한 육성제도로는 한계가 있어 산업융합촉진법을 제정키로 했다”고 소개했다. 그는 또 “그동안 융합을 통해 신제품을 개발해도 인허가 제도가 없어 사장되는 경우가 많았다”며 “융합신제품 적합성인증제를 도입해 출시가 지연되는 융합 신제품을 패스트트랙으로 인증해 주겠다”고 약속했다.

이어 그는 “융합산업은 미래 성장동력이자 일자리 창출의 보고가 될 것”이라며 “범부처가 참여하는 산업융합발전위원회를 구성하고 산업융합지원센터를 만들어 기업들의 요구에 적극적으로 대응할 계획”이라고 덧붙였다.

참석한 기업인들도 다양한 의견을 내놨다. 손을재 아이엠 대표는 “경영을 하다 보면 단독 제품보다는 컴포넌트(복합제품), 또 그걸 모아 놓은 모듈의 부가가치가 훨씬 높다는 것을 체감하고 있다”고 말했다.

송준호 대경창업투자 대표는 “시장 기능에 따라 융합은 자연적으로 일어나겠지만 산업융합촉진법은 이런 흐름을 앞당기는 촉매가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DMS 안상식 부사장은 “기업엔 융합과 통섭에 능통한 사람을 어떻게 확보할 수 있을까가 가장 큰 관심”이라며 “정부는 좋은 인재를 양성하는 부문에 관심을 기울여 달라”고 당부했다.

최현철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