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턱 탈구 논란’ 김성환 “치아 보여 드릴까요”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04면

김성환 외교통상부 장관 후보자의 인사청문회가 7일 국회 외통위 회의실에서 열렸다. 김 후보자가 눈을 감은 채 의원들의 질의를 듣고 있다. [김형수 기자]

김성환(56) 외교통상부 장관 후보자에 대한 인선 절차는 속성(速成)이었다. 이명박 대통령이 1일 김 후보자를 지명했고, 바로 그날 인사청문요청안이 국회에 도착했다. 그로부터 6일 만인 7일 국회 외교통상통일위에서 인사청문회가 열렸다. 통상 15일 안팎 걸리는 절차다. 주요20개국(G20) 정상회의를 앞두고 있는 걸 고려한 야당이 협조했기 때문에 가능한 일정이었다.

그러나 7일 열린 청문회는 속성이라고 할 수 없었다. 여느 청문회처럼 야당 의원들은 김 후보자의 도덕성을 집중 점검했다. 청문회의 단골 메뉴인 ‘다운계약서’ 문제는 이날도 제기됐다. 김 후보자가 2004년 일산의 아파트를 팔고 현 주거지인 구기동 빌라를 사는 과정에 대해서였다.

민주당 박주선 의원은 “빌라를 4억7000만원에 매수했으나 검인계약서엔 2억3000만원에 매수한 것으로 돼 있다. 이에 따라 1392만원의 세금을 탈루했다”고 주장했다. 김 후보자는 “(검인계약서는) 관행에 따라 세무사가 작성하는 데 동의를 했을 것으로 생각한다”고 해명했다. 그러나 “실거래가를 기준으로 세금을 납부토록 한 법이 2006년부터 시행됐다고 한다. 불법·탈루가 아니란 걸 세무서에서 얘기해 줬다”고 반박했다.

야당은 김 후보자가 1975년 신체검사에서 1급 현역 판정을 받았다가 2년 뒤 ‘턱 탈구’로 4급 보충역 판정을 받은 데 대해서도 따졌다. 김 후보자가 6일 서울대 치과병원에서 발급받아 제출한 진단서(앵글씨 3급 부정교합과 하악전돌증)도 논란이 됐다.

자유선진당 박선영 의원은 “지난해 턱 관절로 보충역·면제 판정을 받은 사람이 단 세 명으로, 확률이 0.001%”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진단서대로라면) 아랫니가 훨씬 나와야 하는데 안 그렇다. 1년에 몇 번 탈구되느냐”를 반복해 물었다.

김 후보자는 “지금도 조심하지 않으면 탈구된다”며 “제가 조금 뒤 이(치아)를 보여드리겠다. 보면 바로 알 것”이고 했다.

그러자 한나라당 전재희·김영우·구상찬 의원이 나서 “(외교장관 후보로서) 대한민국의 국격을 생각할 때 치아를 확인하는 것은 코미디”라고 만류해 치아 공개는 없던 얘기가 됐다.

김 후보자가 700여만원을 투자해 2003년부터 3년8개월간 ‘코어세스’ 주식을 107회 거래한 것도 논란이 됐다. 김 후보자가 주식거래내역을 공개하기 전까지 야당에선 “김 후보자가 보유하고 있는 동안 13.7배(주당 565원→7730원)나 급등했는데 작전종목 아니냐”(김동철), “내부자로부터 회사 전망을 들은 게 아니냐”(원혜영)고 따졌다.

하지만 내역이 공개된 이후 야당은 “작게 샀다 팔았다를 반복한 걸 알았을텐데…“(원혜영), “주식투자 규모도 적고 하니까 안 하는 게 좋을 거 같다”(김동철)며 넘어갔다. 김 후보자는 "우연히 산 주식이 손해를 모면하고 약간 수익이 났을 때 팔고 나온 게 전부”라고 해명했다.

김 후보자가 적은 공무원 인사기록카드에는 ‘서울대 대학원 수료’로 돼 있다. 이에 대해 민주당 최재성 의원은 “학점 미달로 제적된 만큼 수료가 아니다”고 지적했고, 김 후보자는 “제적 당했다는 걸 오늘에야 알았다. 제 불찰”이라고 말했다.

글=고정애 기자
사진=김형수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