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 핵보유선언 관련 각 정당 반응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북한의 핵보유 선언과 관련, 정치권은 한목소리로 우려를 표시하며 북한이 하루빨리 6자 회담에 복귀해 협상과 타협을 통해 핵문제를 해결할 것을 촉구했다.

특히 한나라당은 정부의 대북정책을 원점에서 재검토하라고 주장하고, 노무현 대통령과 관계장관이 문제해결에 나설 것을 촉구했다.

열린우리당 임채정 의장은 11일 북한의 핵보유 선언과 관련, "북한의 발표는 남북문제 해결에 도움이 안된다는 점을 다시 확인하며, (북한은) 6자회담에 빨리 나와 문제를 협상을 통해 풀도록 해야 한다"고 밝혔다.

임 의장은 이날 영등포 당사에서 이태식 외교부차관이 배석한 가운데 열린 당 집행위원회의에서 "북한 외무성 성명은 종전에 했던 얘기를 강조해서 되풀이 한 수준이지만 외무성 성명으로 나왔다는 점에서 우리를 실망스럽게 했다"면서 이같이 말했다.

임 의장은 이어 "북한은 나름대로 여러가지 전략을 구사하는 것 같다"면서 "그러나 6자회담 복귀를 무기한으로 미룬다고 하면 결국 북한의 앞날이 무기한으로 불투명해지는 결과 밖에 안되는 만큼 빨리 회담장으로 나와 세계와 함께 남북한 문제를 풀고 한반도 평화구축을 제도화하면서 공동번영의 길로 나가도록 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임 의장은 또 "핵은 어떤 경우에도 용인돼서는 안된다"면서 "그들은 전쟁억지력으로 생각하는 것 같은데 그런 큰 효과도 없다"고 지적한 뒤 "남북한 평화와 동북아 질서 확립 및 북한 발전을 위해서라도 북한이 나와서 핵문제, 비핵화 문제를 포함해 모든 현안들을 협의하는 길이 모두를 위한 길임을 깨달아주기 바란다"고 덧붙였다.

이와 함께 임 의장은 "우리는 북한의 입장을 살펴온 만큼 특별히 당황해할 필요는 없다"면서 "정부의 대응기조는 내용면에서는 이미 추정하고 있던 것인 만큼 큰 변화가 있다고 보지 않는다"고 말했다.

한나라당은 이날 박근혜 대표 주재로 긴급 최고위원.중진회의를 열어 북한의 핵포기 및 6자회담 참가를 촉구한 뒤 "북한 핵보유 선언으로 정부의 대북정책이 실패로 드러났다"면서 "비상대책을 수립하고 대통령과 관계장관이 나서 문제를 해결해야 한다는 입장을 정리했다"고 전여옥 대변인이 밝혔다.

한나라당은 또 이같은 상황에도 불구하고 최근까지 정부에서 6자회담에 대한 낙관적 전망을 잇따라 제시해왔음을 상기시키면서, 북핵 진상과 북한 내부 상황에 대한 정보는 물론 한미 공조에 대한 입장을 밝혀야 한다고 정부에 요구했다.

특히 김덕룡 원내내표, 이규택 최고위원 등 일부 의원들은 이번 사태와 관련해 정동영 통일장관과 국가안전보장회의(NSC) 책임론을 제기하기도 했다. 한나라당은 또 북핵 문제를 따지기 위해 국회 통외통.국방.정보위 등 관련 상임위 소집을 요구하고 여야간 협의를 통해 초당적으로 북핵문제를 다루기 위해 국회내에 북핵관련 특위를 설치하는 방안도 추진키로 했다.

민주노동당과 민주당은 북한이 핵무기 제조.보유를 공식화한데 대해 새로운 사실은 아니지만 일단 우려된다는 반응을 보였다.

민노당 홍승하 대변인은 논평을 내고 "북한이 핵을 통해 북미 관계와 6자 회담 문제를 풀려는 것을 우려한다"면서 "북한은 핵으로 평화를 달성할 수 없다는 사실을 직시해야 한다"고 밝혔다.

홍 대변인은 미국에 대해서도 "대북 강경책이 이러한 문제를 야기한 것"이라며 "이러한 태도를 견지하는 한 북핵 문제를 풀 수 없다는 사실을 인정해야 한다"고 비판했다.

노회찬 의원은 북핵 보유 선언에 대해 "공식 성명은 처음이지만 이미 북한 고위 관료들이 계속해서 얘기해 온 사실일 뿐"이라며 큰 의미를 두지 않았다.

노 의원은 이어 "우리 당론이 한반도 비핵화이므로 북한과 미국 모두 핵을 폐기해야 한다"고 지적하고 "특히 미국이 북한에 체제 위협을 가하는 것을 지양해야만 6자 회담이 제대로 이뤄질 수 있다"고 주장했다.

민주당 유종필 대변인은 논평에서 "북한의 핵 보유 언급은 새로운 사실이 아니다"고 밝힌 뒤 "북한이 핵문제를 협상과 타협을 통해 해결하겠다고 하면서 6자 회담 무기한 불참을 선언한 것은 모순"이라고 비판했다.

유 대변인은 이어 "북핵문제는 평화적으로 해결돼야 하고 어떠한 경우라도 한반도에서 무력충돌이 일어나서는 안된다"며 "북한은 6자 회담에 조속히 복귀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이낙연 원내대표는 "북한이 미국을 흔들어서 진의를 알아내고 한미 공조를 와해시키려는 의도도 있는 것 같다"면서 "참여정부의 올해 3대 국정 목표 중 하나인 남북화해협력의 진전이 이번 북핵 보유 선언으로 초반부터 큰 시련을 맞게 됐다"고 말했다.

디지털뉴스센터.연합뉴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