범죄 취약한 초등교 1000곳에 경비원 두고 보안출입증 도입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19면

이달부터 전국 1000개의 초등학교에 경비원이 배치되고 학교 건물 출입을 통제하는 자동개폐문도 설치된다. 학교 안팎에서 아동 대상 성범죄가 연이어 발생한 데 따른 안전대책이다.

교육과학기술부는 1일 재개발지역이나 다세대가구 밀집지역, 유해환경·범죄에 노출되기 쉬운 지역 등에 위치한 초등학교 1000곳을 ‘학생안전강화학교’로 지정했다고 발표했다. 전체 초등학교(5855곳)의 17% 수준이다. 경기도가 194곳으로 가장 많고 서울 113곳, 경북 80곳, 전남 70곳 등이다. 각 시·도 교육청과 경찰청이 안전취약 학교로 지목한 곳 중에서 위험도가 높은 학교를 우선 선정했다.

이들 학교에는 교과부가 한 차례 안전시설 구축비(2750만원)를 주며 시·도 교육청에서는 경비인력 운영비를 매년 지원한다. 이들 학교는 이달 중으로 교문 입구에 경비실을 짓고 경비인력을 배치하게 된다.

경비원은 1년 내내 방과후 학교가 끝날 때까지 학교에 머무르며 학교 주변 안전관리와 등·하교 지도를 담당하게 된다. 현재 전국 초등학교의 84%에 있는 배움터지킴이는 대부분 정규 수업시간에만 근무하는 탓에 등교 시간과 방과후 보안이 허술하다는 지적이 많았다.

◆안심알리미서비스 제공=교내 건물의 모든 출입문에는 출입자동보안시스템도 구축된다. 학생들이 건물 입구에서 전자칩이 내장된 학생증을 카드인식기에 찍으면 출입문이 열리는 방식이다. 학생증에는 학부모들에게 등·하교나 건물 출입을 문자로 알려주는 안심알리미서비스 기능도 추가된다. 교직원도 출입증이 있어야만 드나들 수 있다. 외부인은 방문하려는 교실 번호를 누르면 교사가 교실 안에서 모니터로 확인 후 열어줘야 들어갈 수 있다. 교과부는 올 11월 현장 모니터링을 통해 운영 효과를 검토한 뒤 대상 학교를 확대할 방침이다. 교과부 박정희 학교생활문화팀장은 “학교만큼은 학생들이 범죄에 노출되지 않는 ‘절대안전구역’으로 만들자는 취지의 대책”이라고 설명했다.

박수련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