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eek& cover story] 당신이 있어 따뜻합니다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01면

'아줌마가 계셔서

집에 가는 길이 무섭지 않아요'

보람이의 한마디 때문에

새벽까지 문을 닫지 못합니다

그녀의 떡볶이엔 특별한 덤이 있습니다

사랑

2003년 12월 어느날 경기도 일산의 한 포장마차. 여주인 박은영(33)씨는 새벽 2시가 다 돼서야 겨우 한숨을 돌릴 수 있었다. 평소 자정이 넘으면 문닫을 채비를 하지만, 연말이라 늦손님이 많았다. 팔다 남은 떡볶이와 순대를 정리하고 있을 때였다. 여고생 한 명이 빠끔 얼굴을 들이밀며 물었다.

"아줌마, 떡볶이 있어요?"

찬바람에 빨갛게 부어오른 양 볼, 그 위로 수줍게 미소짓는 여학생을 그냥 내칠 수 없었다. 은영씨는 막 껐던 가스불을 다시 켜고 떡볶이를 데웠다.

"왜 이렇게 늦게 다니니."

"학원 끝나고 독서실에서 공부하다 오는 거예요."

학생은 포장마차가 집 방향은 아니지만, 컴컴한 골목길이 무서워 돌아간다고 했다. 늘 불이 꺼져 있었는데 오늘은 이렇게 밝아서 너무 좋다고 했다. 보람이(18)와 은영씨의 인연은 이렇게 시작됐다.

이후 포장마차를 접는 시간은 매일 새벽 2시로 늦춰졌다. 1시가 넘으면 손님들의 발길이 뚝 끊기지만 그래서 더 어둡고 무서운 길을 지날 보람이를 생각하면 문을 닫을 수가 없었다. 하루 14시간을 서 있어야 하는 중노동. 허리는 끊어질 듯 아파도 종알종알 떠들며 맛있게 먹는 아이를 보면 피로가 다 풀리는 듯했다. 인사만 하고 지나칠 때도 있었지만 아이의 밝은 얼굴만 봐도 가슴이 따뜻해졌다. 남편(43)의 회사가 부도난 후 직접 생업전선에 뛰어드느라 친정에 맡겨놓은 아들(7) 생각에 더욱 그랬다. 그렇게 1년 여가 지났다. 지난해 12월 한 아주머니가 찾아왔다.

"그동안 우리 딸아이를 보살펴줘서 얼마나 고마운지…. 사는 김에 하나 더 샀어요." 그녀는 "오래 서 있어도 피로가 좀 덜할 것"이라며 발매트를 내밀었다.

수능시험을 치른 보람이는 이제 낮에 가끔 들를 뿐이다. 하지만 손님이 끊긴 포장마차에서 눌어붙는 떡볶이에 어묵 국물 부어가며 밤을 밝히는 은영씨의 하루는 계속되고 있다. 혹시 있을지 모를 또 다른 보람이를 위해서다.

"기쁨은 전이되는 거잖아요. 내가 누굴 즐겁게 하면 그 사람은 또 다른 이를 기쁘게 하고…."

은영씨의 꿈은 탁아소를 만들어 많은 엄마에게 기쁨과 위안을 주는 것. 그 꿈이 이뤄질 때까지 포장마차의 불은 거리를 환하게 비출 것이다.

아무리 거칠고 험하다 해도 따스한 정(情) 한 방울에 세상은 살 만한 곳으로 변한다. 꼭 지갑을 열어야만 하는 게 아니다. 거창한 자원봉사를 떠올릴 필요도 없다. 누구나 자신의 자리에서 남을 배려하는 마음으로 세상을 바라보면 그만이다. 그렇게 나누는 정 하나하나가 모여 세상을 바꾸는 커다란 힘이 되는 것이다.

글=이훈범 기자<cielbleu@joongang.co.kr>
사진=권혁재 전문기자 <shotgun@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