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군 무죄' 규탄시위 잇따라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35면

미군 무한궤도차량 여중생 사망사건과 관련, 무죄 평결을 받은 미군 2명이 27일 오후 미국으로 출국한 가운데 시민단체 등의 규탄 시위가 잇따랐다.

'미군 장갑차 여중생 살인사건 범국민대책위'소속 1백30여개 시민단체 대표 등 6백여명은 이날 오후 3시 서울 용산 전쟁기념관 앞에 모여 "이번 재판은 미군에게 면죄부를 주기 위한 요식행위에 불과했다"면서 "부시 대통령이 미국 대사를 통해 간접적으로 사과할 것이 아니라 전세계 언론을 상대로 공개 사과해야만 받아들일 수 있다"며 규탄집회를 가졌다.

전교조 인천지부도 이날 ▶미국 대통령 공개 사과▶재판권 이양▶한·미주둔군지위협정(SOFA)전면개정 등을 요구하는 교사 2천8백81명의 서명 명단을 발표했다.

또 이날 오전 7시쯤 경기도 평택시 K-55 미군부대 정문 앞에서는 평택 참여연대 등 시민단체 회원 15명이 반미 구호와 함께 계란을 던지며 기습 시위를 벌였으며, '미군기지 되찾기 대구시민모임'등 시민단체 회원 50여명은 대구시 남구 미군기지 뒷문에 천막을 치고 무기한 항의 농성에 들어갔다.

재향군인회도 이날 성명을 통해 "미군은 재판 절차의 정당성을 주장하기에 앞서 한국민의 분노를 진정시킬 수습책을 찾아야 할 것"이라고 밝혔다.

이에 앞서 사고 차량 관제병 페르난도 니노 병장과 운전병 마크 워커 병장은 미8군 공보실을 통해 사죄 성명을 발표했다.

니노 병장은 "유가족의 슬픔과 고통에 사죄한다"고 밝혔으며, 워커 병장은 "본의 아닌 사고지만 죄책감에 몸둘 바를 모르겠다"고 말했다.

한편 부시 대통령의 사과 소식을 전해들은 숨진 여중생 심미선양의 아버지 심수보(48)씨는 "부시 대통령이 사과한 만큼 정부는 재발 방지를 위해 당장 SOFA 개정에 나서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정찬민·전익진 기자

chanmin@joongang. co. 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