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론조사기관 선정 마찰 소지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3면

노무현·정몽준 후보 간의 16일 합의에도 불구하고 후보 단일화의 최종 성사를 위해서는 수차례 난관이 남았다. 우선 이날 합의된 8개항 중 '여론조사는 객관적인 방식으로 일반국민을 대상으로 한다'는 대목에 함정이 있다는 지적이다.

여론조사기관 선정의 객관성·공정성 문제가 걸려있기 때문이다. 평소 연고관계가 있는 조사기관을 포함시키려 할 경우 양 진영의 마찰이 있을 수 있다.

설문 항목을 어떻게 하느냐에 따라 다른 결과가 나올 수 있는 여론조사의 한계도 걸림돌이다. 전문가들은 "단일후보의 기준을 '누가 단일화 후보로 좋으냐'는 질문으로 할 것인가, 아니면 '누가 이회창 후보를 이길 수 있느냐'로 할 것이냐에 따라 다른 결과가 나올 수 있다"고도 지적한다. "질문문항이 '노무현·정몽준'순이냐 '정몽준·노무현'순이냐'의 논쟁도 있을 수 있다"는 관측이 나온다.

두 후보의 지지도 차이가 오차범위 내일 경우 과연 승복할 수 있을지도 문제로 남는다. 최근 한국갤럽과 중앙일보 여론조사 결과는 모두 오차범위인 0.7% 차이로 鄭후보가 앞서 있다.

민주당 이해찬(李海瓚)단일화협상단장은 15일 "민주당 자체조사로는 盧후보가 0.1%를 뒤지고 있는 것으로 나왔다"며 '여론조사 방식 단일화'에 난감해하기도 했다.

오차범위 내에서 0.1% 앞선 쪽을 후보로 택할 경우 다른 쪽이 승복할 수 있겠느냐는 얘기다. 조사대상의 샘플을 어떻게 할 것이냐는 것도 쟁점이 될 수 있다.

통합21 측은 당초 "일반국민을 무작위로 뽑아 조사할 경우 이회창 후보 지지자들에 의한 역선택으로 결과가 왜곡될 가능성이 있다"고 주장했었다.

최훈 기자

choihoon@joongang. co. 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