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주의원 탈당 규모에 촉각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8면

4자 연대 공동신당이 탄력을 받고 있는 가운데 이번 주가 공동신당의 성패를 가를 분수령이 될 전망이다.

4개 정파 대표자들은 이번 주 중 원내교섭단체 구성을 선언해 놓고 있지만 민주당 후보 단일화 추진협의회(후단협)의 탈당 규모와 창당 방식 등 변수도 적지 않은 상황이기 때문이다.

후단협은 21일 조찬모임에서 1차 탈당의 규모와 시기를 확정할 예정이다. 탈당 규모에 대해 후단협은 "20명 이상은 충분하다"고 장담하고 있다. 독자적으로 탈당을 선언한 경기도 지역 의원들이 후단협과 행동을 통일하기로 했다고 한다. 한 핵심 의원은 "이들 9명에 이미 탈당을 결심한 10여명을 더하면 독자 교섭단체도 충분히 가능하다"고 말했다.

이럴 경우 이번 주 중 자민련 및 이한동(李漢東)의원, 정몽준(鄭夢準)의원 측의 '국민통합 21'이 함께 참여하는 교섭단체가 구성돼 4자 신당 논의에 가속도가 붙게 된다. 민주당 내의 동요가 커지면서 탈당 도미노 현상이 확산될 가능성도 커진다.

그러나 내부에서는 회의적인 시각도 적지 않다. 한 의원은 "다들 탈당하겠다면서도 먼저 탈당하라면 주저하는 분위기"라고 털어놨다. 일부 의원은 "후보 단일화 명분을 살리기 위해서는 월말, 또는 다음달 초까지는 대선후보 지지율 추이를 두고 봐야 한다"며 신중한 입장을 보이고 있다. 경기도 지역 의원 9명 중 절반 가량도 개인 사정이나 지역구 여론을 들며 이달 말까지는 탈당이 어렵다는 입장을 전한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통합신당 창당 방식을 둘러싼 이견도 해소되지 않고 있다. 후단협 공동회장인 김원길(金元吉)의원은 지난 18일 "후단협과 이한동 의원 측이 창당준비위를 구성한 뒤 '국민통합 21' 및 자민련과 합당해 통합신당을 출범시키는 2단계 탈당에 합의했다"고 주장했다.

그러나 '국민통합 21'의 이철(李哲)전 의원은 20일 "합의된 것은 교섭단체를 만들고 통합방식과 절차는 계속 협의한다는 것뿐"이라며 '개별입당' 방식을 거듭 강조했다.

후보 단일화 방식도 논란거리다. '국민통합 21'은 "통합신당의 후보는 정몽준"이라며 추대를 기정 사실화하고 있지만 김원길 의원 등 후단협 내 일부 의원들은 "후단협이 鄭의원 추대위원회가 아니다"며 경선을 강력하게 주장하고 있다.

박근혜(朴槿惠)의원의 거취와 일부 의원의 한나라당 이탈도 신당에 영향을 줄 수 있다. 후단협은 "정몽준 의원의 대선 승리를 확신시키기 위해서는 朴의원을 끌어들여야 한다"고 요구하고 있지만 朴의원의 태도는 부정적이다. 자민련과 후단협 일부 의원들이 한나라당으로 갈 경우 이들 정파의 구심력이 급속히 약화되면서 4자 논의의 틀이 허물어질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한편 자민련 김종필 총재는 20일 원철희(元喆喜)·조희욱(曺喜旭) 등 당 소속 의원 및 이인제(李仁濟)·김윤식(金允式) 등 민주당 내 반노파 의원들과 골프회동을 해 눈길을 끌었다.

나현철·서승욱 기자

tigerace@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