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피니언 과학으로 세상보기

개미의 신혼 비행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34면

사람들의 혼례식은 국가와 민족에 따라 매우 다양하다. 수중결혼식이나 기내결혼식 같은 특이한 결혼식은 젊은이들의 관심을 끌기에 충분하다. 동물들의 결혼은 어떠할까. 필자는 25년 동안 개미를 연구하면서 개미의 결혼비행에 관한 논문을 읽다가 너무나 흥미로운 나머지 온몸에 전율을 느낀 적이 한두 번이 아니다. 개미는 벌목에 속하는 곤충으로서 여왕개미.수개미.일개미 세 가지 계급이 있다. 여왕개미가 수개미와 교미해 낳은 알이 충분히 발육되면 공주 여왕개미가 되고 발육이 부진하면 일개미가 된다. 여왕개미가 혼자 알을 낳으면 수개미가 된다. 여왕개미와 수개미는 생식능력이 있으며 날개가 있어 하늘을 날 수 있다. 여왕개미는 알을 낳고 집단을 통솔하며 수개미는 평상시 무위도식하다가 공중결혼식에 참석한 뒤 최후를 맞게 된다. 일개미는 암컷이기 때문에 모성본능이 있어서 집을 짓고 먹이를 물어오며 새끼를 돌보는 일을 한다.

여왕개미는 가슴에 두 쌍의 날개가 있다. 공중을 나는 데 쓰이는 비행근이 발달해 있어 가슴이 크고 둥글며, 생식선이 발달해 배가 일개미나 수개미보다 훨씬 크다. 여왕개미는 대체로 날씨가 따듯한 5월 또는 6월께 약간의 습도와 바람이 있는 맑은 날을 택해 교미하기 위해 집 밖으로 나온다. 여왕개미가 나오자마자 다른 모든 개미도 이집 저집에서 나와 안절부절못하며 부단히 움직이기 시작한다. 지금은 달라졌지만 우리나라 전통혼례가 있을 때는 거의 모든 이웃 사람이 잔칫집에 모여 며칠 동안 일해주고 먹고 마시며 축제를 벌이는 풍습은 개미가 혼례를 치르기 위해 이집 저집에서 나오는 장면과 매우 유사하다.

여왕개미가 성유인 페로몬(화학물질의 일종)을 분비해 수개미들이 흥분하고 여왕개미를 따라서 하늘로 올라갈 준비를 하고 있는 것이다. 한 집의 수개미들만 나오는 게 아니고 그 냄새를 맡은 그 주위 모든 집의 수개미가 집 밖으로 나와 공중비행에 참여하는데, 이것은 근친결혼을 피하기 위해서다. 여왕개미는 무거운 몸을 이끌고 나무나 풀 또는 바위 위로 올라간다. 일단 알맞은 장소에 도착해 자세가 안정됐다고 생각하면 행글라이더가 공중을 날 듯이 뛰어내린다. 바람을 타고 하늘로 솟아오른 여왕개미는 처녀비행을 즐기며 하늘을 난다. 여왕개미는 처녀이고 처음이자 마지막인 비행을 하기 때문에 필자는 '처녀비행'이란 용어 사용을 선호한다.

하늘로 솟아오른 여왕개미는 구름처럼 모여 있는 수개미 떼 속으로 돌진해 교미한다. 지금까지 한 마리의 수개미가 여왕개미와 교미하는 것으로 알고 있었지만, 근래의 연구 결과에 의하면 여러 마리의 수개미가 한 마리의 여왕개미와 순번을 정해 교미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여왕개미는 수개미와 붙어 있는 채로 공중에서 지그재그로 날면서 땅에 떨어진다. 이때 이들은 대부분 새나 다른 천적에 잡아먹힌다. 여왕개미가 안전하게 땅에 떨어져 땅을 파고 새로운 개미집을 짓는 데 성공할 확률은 보통 1000분의 1이다. 수개미는 교미가 끝나면 너무 많은 에너지를 비행과 사랑에 소모한 나머지 여독에 지쳐 땅에 떨어져 모두 죽는다. 성공적으로 땅에 도착한 여왕개미는 필요 없게 된 날개를 나뭇가지나 돌에 비벼 떼어버리고 새로운 가족과 함께 살 집을 짓는다. 가슴에 발달된 비행근을 분해, 에너지원으로 써서 겨우 목숨을 부지하면서 10개 내외의 알을 낳아 정성껏 돌봐 일개미로 키워 노동력을 확보한다. 밖에 나가 먹이를 물어오고 집을 확장하고 수리한다. 여왕개미는 많은 알을 낳고 언니 개미들의 보살핌으로 동생 일개미들이 태어나면 개미집은 활기를 띤다.

김병진 원광대 교수·곤충학

◆약력:원광대 생명과학부 교수, 한국곤충학회장 역임, 한국동물분류학회장, 세계곤충학회(ICE) 한국 최초 운영위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