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고밀도지구 재건축 본격화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29면

서울시가 10~15층짜리 중층 아파트 단지가 몰려 있는 잠실 등 13개 고밀도 지구에 대한 지구개발기본계획 수립에 착수, 이르면 2004년부터 재건축 사업이 본격화할 전망이다.

서울시는 오는 10월까지 13개 지구 중 잠실·여의도 등 여섯곳의 토지 이용과 교통처리, 주택 및 공공시설의 규모와 배치 등을 담은 지구개발 기본구상을 수립할 용역 사업자를 우선 공모해 내년까지 지구별 개발계획을 세울 방침이라고 7일 밝혔다.

공모 대상은 ▶잠실·신천동 일대의 잠실지구▶여의도 지구▶반포·잠원동 일대 반포지구▶서초지구▶역삼·삼성동 일대 청담·도곡지구▶서빙고지구 등 여섯곳이다.

이에 따라 잠실지구 등은 이르면 2004년부터 안전진단과 조합설립,사업승인 등을 거쳐 재건축 사업에 시동이 걸릴 것으로 보인다.

이수·가락·압구정 등 나머지 일곱곳의 개발기본계획은 2004년 말까지 완료할 예정이다.

허영(許煐)서울시 도시관리과장은 "13개 지구 주민들의 재건축 요구가 거셀 것으로 보이지만 안전진단 등 일정한 요건을 통과해야만 재건축 대상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대부분 1970년대 지은 아파트가 빽빽이 들어서 있는 이들 13개 지구(총 1천2백여만㎡)에는 8만4천여 가구가 살고 있으며, 재건축 최고 용적률은 2백50%로 제한돼 있다.

특히 현재 13개 지구에 적용되고 있는 개발기본계획은 76년에 세운 것이어서 용적률 등이 현실과 동떨어졌다는 지적이 많았다. 또 시가 새로운 지구개발기본계획을 수립하기 전에는 재건축을 불허한다는 방침이어서 재건축 사업은 발목이 잡혀 있었다.

서울시는 또 13개 지구의 새로운 개발기본계획 수립기준으로 ▶환경·교통 영향평가로 재건축 문제점 최소화▶환경친화적 토지이용▶기존 수목 보전▶재건축에 따른 전세난 대책 등을 제시해 수익성만 노리는 무분별한 재건축 사업에 제동을 걸기로 했다.

그러나 서울시의 이번 조치는 마구잡이 도심 개발을 막기 위해 아파트 재건축을 최대한 억제해온 기존 주택정책과 상반된 것이어서 주목된다.

특히 서울시가 '주택 10만가구 조기 확보'를 내걸었던 이명박(李明博)시장의 공약에 맞춰 정책의 틀을 바꾸기 시작한 게 아니냐는 지적도 나오고 있다.

백성호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