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公館 침입' 韓·中 외교마찰 심화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2면

중국 보안·공안 요원의 한국 대사관 영사부(총영사관) 침입과 탈북자 강제 연행, 한국 외교관 폭행을 둘러싼 한·중 간 외교 마찰이 심화하고 있다.

<관계기사 5면>

리빈(濱)주한 중국 대사는 17일 언론사에 보낸 자료와 KBS-1라디오와의 회견에서 기존 입장을 되풀이하면서 한국 측을 비난했고, 이에 대해 정부는 "중국 측의 일방적인 주장은 받아들일 수 없다"고 밝혔다.

대사는 특히 중국의 탈북자 연행 과정에서 빚어진 우리 외교관 폭행과 관련, "한국 측 외교관 다수가 외교특권을 남용하고 공공연하게 중국 공안들의 공무집행을 제지했다"며 우리 측에 "해당 외교관의 책임 추궁을 요구한다"고 밝혀 양국의 입장은 첨예한 대립 양상을 보이고 있다.

대사는 KBS와의 회견에서 "한국이 사실관계를 고려하지 않고 무리하게 중국을 비난하는 것에 대해 중국은 아주 이해하기 힘들다"며 우리 정부의 태도를 비판했다. 그는 이어 우리 측이 탈북자의 원상회복을 요구한 데 대해 "원상회복은 전제 자체가 존재하지 않는다"면서 "한국 측이 사실관계를 존중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그는 언론사에 보낸 자료에서도 "한국은 (북한 밀입국자들의 대사관 진입을)계속 권장하고 용인하는 정책을 취해왔다"고 비난하는 한편 "일부 논평이 그리 객관적이고 냉정하지 못하다"고 불만을 나타냈다.

이에 대해 정부 당국자는 대사의 발언 내용이 전해진 직후 "중국이 우리 정부에 공식 입장을 전하지 않고 언론을 통해 입장을 표명하는 것은 매우 유감"이라며 "그 입장도 사실관계에 기초하지 않고 부정확해 받아들일 수 없다"고 반박했다.

한편 17일 오전 11시48분(중국시간)과 오후 3시50분에 탈북자 이모(31·여)씨와 엄모(31·여)씨가 총영사관 건물에 들어가 한국 망명을 신청했다고 대사관 측이 밝혔다.

서울=오영환 기자, 베이징=유광종 특파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