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13현장르포-1.호남> "민주당 간판보다 무소속 출마가 유리"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3면

최진영(崔珍榮)전북 남원시장 후보는 현직 시장이다. 그는 이번 지방선거에서 민주당 공천 대신 무소속으로 출마했다. 강근호(姜根鎬)군산시장 후보도 마찬가지다. 姜후보는 "시장을 해 보니 무소속이 간섭도 안받고 시민 의견도 훨씬 효율적으로 반영할 수 있더라"고 말했다.

6·13 지방선거에서 호남 지역의 두드러진 특징 중 하나가 무소속 바람이다. 현직 기초단체장들이 대거 민주당을 외면하고 무소속 출마를 선언했다. 모두 12명이나 된다.

광주 북구청장, 전남 여수·광양시장과 진도군수, 전북 군산·익산·정읍·남원시장과 완주·임실·순창·고창군수가 그들이다.

물론 이들 중에는 민주당 경선에서 지고 불복한 사례도 있다. 하지만 다수는 처음부터 경선에 참여하지 않고 무소속 출마를 선언한 경우다. 몇몇은 민주당 측의 공천 제의도 거부했다고 한다.

원인 분석은 엇갈린다. 그러나 '민주당 프리미엄'이 더 이상 힘을 발휘하지 못한다는 데서는 의견들이 일치한다.

姜후보는 "시민들의 정서는 이미 민주당을 떠난 지 오래"라고 말했다.

전남대 지병문 교수는 "호남에서 현직 프리미엄은 더욱 강화되는 데 반해 민주당 프리미엄은 현저히 약화되고 있다"고 말했다.

여기엔 기초단체장과 그를 견제하려는 지구당 위원장의 불화도 작용했다고 한다.

崔후보는 "지구당 위원장들이 다음 총선을 의식, 민심을 외면한 자기 사람 심기에만 혈안이었다"고 비판하고 있다.

"일부 단체장의 경우 민주당 프리미엄이 신통치 않은 데다 당내 경선이란 관문을 무난히 통과할 수 있을지에 대해서도 확신이 서지 않자 아예 무소속 출마로 일찍 방향을 정한 것 같다"는 분석도 나온다.

호남 출신의 한 의원은 "국민경선제와 상향식 공천이 도입되면서 새 사람으로 바꾸자는 유권자들의 욕구가 유행병처럼 번지고 있다"며 "현역은 지명도는 높지만 그만큼 교체 압력도 많이 받고 있다"고 전했다.

관건은 무소속의 당선율이다. 민주당 강현욱(姜賢旭)전북지사 후보 측의 윤재식 대변인은 "민주당 지지도가 저점을 통과했기 때문에 막판 위기감이 발동하면 사정이 달라질 것"이라고 말했다.

반면 무소속 후보들과 시민단체 측은 "유권자들이 민주당의 '미워도 다시 한번'호소에 더 이상 속지 않을 것"이라고 주장했다.

박신홍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