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행기 추락… 탄광 붕괴… 공장 폭발 中 잇단 대형사고 안전 비상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8면

[홍콩=이양수 특파원] 중국 지도부가 최근 항공기 추락,탄광 매몰 등 대형사고가 잇따르자 "앞으로 항공·철도·도로·광산 등에서 대형사고가 날 경우 책임자를 형사처벌하겠다"는 방침을 밝혔다.

홍콩 경제일보는 9일 "중국 북방항공 여객기 추락사건 뒤 장쩌민(江澤民)국가주석과 주룽지(朱鎔基)총리, 후진타오(胡錦濤)국가부주석 등이 참석한 가운데 사고 수습과 함께 철저한 재발방지 대책을 논의했다"고 보도했다.

회의에서 주룽지 총리는 ▶항공·철도·도로·광산과 각종 공업시설에 대한 안전사고 방지책을 마련하고▶전국의 모든 분야에 대해 안전검사 활동을 벌여 문제가 있을 경우 시정될 때까지 생산을 중단시키고▶'안전생산 책임제'를 엄격하게 시행하도록 하는 등 3개 항을 지시했다고 동방일보는 전했다.

朱총리는 특히 최근 국무원 비상회의에서 "각 기업·기관에서 대형 사고가 발생하면 책임자에게 행정책임은 물론 형사책임까지 추궁할 것"이라고 경고했다.

중국 지도부는 지난달 한국에서 중국 여객기가 추락한 지 한달도 안돼 비슷한 사고가 터진 데 대해 '8년 만에 있는 항공재난(空難)'이라며 비상이 걸린 분위기라고 홍콩 언론들은 분석했다.

일부 홍콩언론은 "이번 추락사고를 계기로 민항기의 안전관리에 구멍이 뚫렸다는 여론이 일고 있다"며 "노동절 연휴기간 중 무리한 운항을 하는 바람에 조종사들이 지쳐 있었고,항공기 안전진단·수리도 제대로 하지 않았을 가능성이 있다"고 지적했다.

한편 중국 국무원은 교통 분야를 관장하는 리란칭(淸)부총리의 지휘 아래 여객기 추락사고 방지책 마련에 직접 나섰으며, 江주석의 후계자로 확실시되는 후진타오 부주석은 대형사고 방지 특별대책팀을 지휘하기로 한 것으로 전해졌다.

이 팀에는 국무원 국가경제무역위원회와 교통부·민항총국은 물론 공안부·군(軍)까지 참여하고 있다.

홍콩 관광업계의 한 관계자는 "잇따른 여객기 추락사고로 중국 여행을 기피하거나 민항기를 타지 않으려는 현상이 빚어지고 있다"며 "고도성장 와중에서의 '안전불감증'이 가장 큰 원인"이라고 지적했다.

<중국의 대형 사고 일지>

▶2002년 5월 중국 북방항공공사여객기 추락.1백12명 사망

▶5월 구이저우(貴州)·후난(湖南)성 탄광사고로 47명 사망

▶4월 중국 국제항공공사 소속 여객기 김해 추락.1백29명 사망

▶2001년 12월 장시(江西)성 완짜이(萬載)현 폭죽공장 폭발사고.9명 사망, 50여명 부상

▶9월 후베이(湖北)성 우한(武漢)시 폭죽공장 폭발사고. 20명 사망

▶4월 천자산(陳家山)탄광 가스 폭발사고. 38명 사망

▶3월 허베이(河北)성 스자좡(石家莊)시 연쇄 폭발사고.1백8명 사망

▶3월 장시(江西)성 팡린(芳林)초등학교 폭발사고. 42명 사망

▶2000년 6월 우한(武漢)항공 여객기 추락해 42명 사망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