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학 158곳 중 24곳, 3년간 교사 한 명 못 냈다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01면

전국 4년제 대학 158곳 가운데 24곳(국립 2곳, 사립 22곳)이 2007~2009년 국·공립과 사립 중·고교 교사를 한 명도 배출하지 못한 것으로 나타났다. 158곳은 졸업생에게 교사자격증을 수여하는 사범대와 일반대 교직과정(일반학과 학생이 교직과목 이수), 교육대학원 등을 설치한 대학이다. 전국 대학에서 매년 3만여 명이 교사자격증을 따고 졸업하지만 교직 진출은 쉽지 않은 것으로 분석됐다. 지난해 말 치러진 국·공립교사 임용고시(2525명 선발)에서는 교사 자격증을 가진 5만8706명이 지원했다. 경쟁률이 23 대 1을 넘었다. 경쟁률만 보면 올해 사법시험 1차(8.7 대 1)보다 훨씬 높다.

이는 중앙일보가 한나라당 박보환 의원과 함께 최근 3년간 전국 중·고교 5331곳(국·공립, 사립)에 교사로 임용된 1만4531명의 출신 대학을 최초로 분석한 결과다.

대학별 교사 배출 비율(교사자격증을 주는 전체 학과의 입학정원 대비 임용자 수)은 서울대·공주대·경북대·한국교원대 네 곳만 30%를 넘었다. 같은 기준으로 사립대 중에선 고려대가 27%로 가장 높았고, 이화여대는 19.7%였다.

반면 지방대 24곳은 매년 1000여 명에게 교사자격증을 줬지만 교사(사립학교 포함)가 된 이들이 한 명도 없었다. 교직에 진출하지 못한 졸업생 중 상당수는 시험 준비에 매달리고 있는 실정이다. 임용고시 대비 학원들은 그 인원을 1만여 명으로 추산했다.

박 의원은 “교원 수급의 불균형과 대학들의 학사 운영에 문제가 드러났다”며 “교사 양성 시스템의 수술이 시급하다”고 말했다. 

◆특별취재팀=강홍준·이원진·박유미·김민상 기자, 유지연 중앙일보교육개발연구소 연구원

알려왔습니다 기사와 관련해 한국교원대는 2006년 사범대 정원 대비 2007~2009년 3년간 교사 임용자 수 비율은 44%이며, 이에 따라 순위는 사범대 중 6위, 전체 정원 대비 교사 배출 비율은 1위라고 알려왔습니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