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현장 이 문제] 대구 노변대백맨션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23면

"주차장을 잠식하면서까지 고속도로가 아파트단지 앞으로 지나가면 소음이나 조망권 피해 등이 심각해집니다." 대구시 수성구 노변동 노변대백맨션(4백32가구, 1999년 7월 입주) 주민들이 지난 2월 착공된 경부고속도로 동대구IC와 김해 대동을 잇는 대구~부산간 고속도로의 노선변경과 지하화를 요구하고 나섰다.

고속도로 부지가 아파트단지 주차장(잠식면적 5백93㎡)을 통과하도록 설계돼 소음피해와 조망권 침해로 아파트값 하락 등 재산.주거권 피해가 커질 것이라는 우려 때문이다.

주민들은 "아파트와 10~30m 떨어진 곳에 둑을 쌓아 아파트 6,7층 높이만큼 고속도로를 건설하면 조망권이 침해되고, 소음.분진 피해가 심각해진다"고 주장했다.

주민들은 이에 따라 지난 5월 고속도로 노선변경과 지하화 등 대책을 요구하는 1천1백여명 명의의 진정서를 대구시.건설교통부 등 각계에 제출했다.

또 고속도로 반대건설대책위원회(위원장 김원희)를 구성, 아파트단지 등에서 시위를 벌이거나 유사한 사례가 있는 김천 등지를 방문하는 등 집단반발하고 있다.

김원희(72)반대대책위원장은 "고속도로 착공 이후 아파트 가격이 떨어지고 거래도 끊겼다"며 "대구시 등을 항의방문해 대책을 요구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문제는 아파트 사업승인이 난 96년 10월보다 1년 8개월 빠른 95년 2월 고속도로 구역이 결정고시되고 93년 설계가 이뤄진 점.

대구시가 고속도로 결정고시 및 설계내용을 제대로 파악하지 않고 아파트 사업승인을 내줘 뒤늦게 주차장 부지잠식 사실이 밝혀지게 된 것이다.

시 관계자는 "사업승인때 필요한 서류인 도시계획 확인원에는 도시계획도로만 나오기 때문에 경사면 등 고속도로 구역은 확인할 수 없었다"고 말했다.

이 때문에 고속도로 공사를 맡은 대구~부산간 고속도로㈜는 주민들의 민원 제기에도 불구하고 "설계는 별 문제 없다"며 공사를 강행할 자세다.

민원이 일자 대구시는 "아파트 주차장이 고속도로 구역에 잠식되지 않도록 아파트단지 바깥에 2~4m의 옹벽을 세우는 방안을 도로공사와 협의중"이라고 해명했다.

그러나 이같은 대책은 소음.조망권 피해 등을 해소하기에는 미흡해 민원은 장기화될 전망이다.

현재 공정 7%인 대구~부산간 고속도로는 총연장 82㎞로 2006년 2월 완공 예정이다.

황선윤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