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발언대] 명지대교 착공 늦출 명분없어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7면

부산의 명지대교는 당초 녹산 국가산업단지 입주업체가 가동하는 2001년에 완공될 예정이었다. 그러나 문화재청의 허가 지연으로 아직 착공도 못하고 있다. 환경단체는 건설 자체를 반대하는 게 아니다. 다리의 위치에 대해 의견이 다를 뿐이다.

현재 녹산산업단지와 신호 지방산업단지에는 6백여 업체, 1만여명의 근로자가 생산활동에 종사하고 있다. 2003년에는 8만여명으로 늘어날 전망이다. 2006년 부산신항의 1단계 공사가 끝나면 서부산권은 물론 우리나라 전체의 물류 국제경쟁력을 높이기 위해서라도 다리 건설이 시급하다.

당장 공사에 들어간다 해도 2006년에야 완공할 수 있다. 건설 기간 부산의 극심한 교통혼잡은 불을 보듯 뻔하다. 또 물류비가 많이 늘어나는 등 국가 경제적으로 엄청난 손실이 불가피하다. 일부에서 주장하는 낙동강의 환경 파괴를 막으려면 상류지역의 수질을 보존하고 낙동강 하구를 체계적으로 관리하는 데 역점을 둬야 한다.

이 지역을 철새보호지구로 지정해야 마땅하다. 명지대교는 신항만과 녹산공단을 연결하는 부산경제권의 산업동맥이며 부산의 교통난을 해소할 수 있는 해안 순환 연결 도로다.

명지대교의 건설 계획은 이미 논의단계를 지났다. 하저터널이나 우회도로의 건설은 안전도나 막대한 사업비 측면에서 불가능하다. 직선형으로 건설하는 게 최선의 선택이며 대다수 시민.전문가들도 이에 동의하고 있다. 진정한 부산 발전, 어려운 부산 경제 살리기를 위해 문화재관리위원은 대다수 시민의 바람을 조속히 수용해주기 바란다.

박인호 <부산경제가꾸기 시민연대 공동의장>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