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두산, 한국중공업 인수 미스터리"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4면

한나라당 안영근(安泳根)의원은 12일 "두산의 한국중공업(현 두산중공업) 인수과정이 의혹 투성이"라며 민주당 K의원의 개입 의혹을 제기했다.

安의원은 이날 미리 배포한 경제분야 대정부질문 원고를 통해 "두산중공업이 있는 창원에서는 한국중공업(韓重)을 인수하도록 도와준 막후 실세가 K의원이라는 소문이 있다"고 주장했다.

安의원은 대정부질문이 정상적으로 진행될 경우 K의원의 실명을 밝힐 방침이었다고 한다. 한나라당 당직자들은 "K의원은 실세 중의 실세"라고 말했다.

安의원은 K의원 개입설의 근거에 대해 "두산은 중공업에 대한 노하우가 전혀 없고 3년 연속 적자에 시달렸으며, 신용등급도 한중보다 다섯단계나 낮은 'BBB-'에 불과했다"며 "그런 두산이 9년 연속 흑자를 낸 한중을 인수한 것은 한마디로 미스터리"라고 주장했다.

그는 "한중 인수로 두산의 출자총액이 제한규정치인 25%를 초과했지만 정부는 억지논리로 예외를 인정했다"고 말했다.

또 "알짜배기 독점회사인 한중 인수전(戰)에 두산과 H사만 참여한 것도 이상하다"면서 "H사는 소규모 기자재 업체로 이 회사 회장은 두산중공업 최고경영자와 인척관계여서 담합했을 가능성이 크다"고 주장했다.

安의원은 "현대.삼성.한국중공업의 발전설비 제작부문을 한중으로 끌어모아 독점기업으로 만든 후 이를 두산그룹에 넘긴 것은 DJ식 경제정책에 정면으로 위배된다"며 "한중의 회사채 신용등급은 두산에 인수된 이후 네단계나 떨어졌다"고 강조했다.

이같은 주장에 대해 K의원측은 "터무니없는 얘기"라며 "법적 대응책을 강구하겠다"고 밝혔다.

민주당 전용학 대변인은 "근거없는 설을 유포하는 것은 정치테러 행위"라며 "安의원이 대정부질문이 아닌 원고를 통해 그같이 주장한 것은 면책특권에 해당하지 않는다"고 말했다. 두산측은 "K의원과 아무 관계가 없으며 H사와의 담합설도 사실과 다르다"고 반박했다.

또 "출자총액제한 규정의 예외를 적용받은 것은 IMF사태 이후 공정위가 이 규정의 적용을 완화했기 때문이며,이는 다른 기업에도 적용됐다"고 설명했다.

이상일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