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과 나] 이상 헤이리아트밸리 사무국장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41면

7년만에 이삿짐을 싸게 되었다. 애서가들의 번듯한 장서에는 미치지 못하지만 작은방 하나를 책더미가 빼곡히 차지하고 있으니, 이사 때마다 여간 골칫덩이가 아니다.

십수년이 흘러 누렇게 바랜 잡지마저 끝내 버리지 못하는 것도 큰 병이지 싶다. 그래도 책 만드는 일을 업으로 해온 사람으로서 책에 대한 이만한 외경심도 없어서야 하며 위안삼는다.

내 독서습관은 출판쟁이답게 잡식성 남독에 가까울 터다. 하지만 중학시절에 고전읽기대회라는 데 나가느라 『그리스 로마 신화』『로빈슨 크루소』 같은 책 네댓권을 줄줄 외다시피하던 색다른 기억도 있다.

그후 세계문학전집이며 역사.사회과학에 심취하기도 했지만, 어쩌면 운명처럼 나를 출판의 길로 이끈 것은 소년기의 그 우스꽝스러웠던 수험형 독서체험이었는지 모른다.

독서인으로서의 내 손끝을 스쳐간 책들 가운데, 저 1980년 벽두에 영어의 몸으로 만난 칼 세이건의 『코스모스』와 그로부터 20여년이 흘러 접한 그의 부인 린 마굴리스, 아들 도리언 세이건 공저의 『생명이란 무엇인가』가 퍼뜩 떠오른다.

역설적이게도 남편은 우주적 시각으로, 부인과 아들은 현미경 속의 작디 작은 우주를 통해, 내 지적 호기심의 본류라 할 수 있는 인간사회의 시원과 궁극의 양면을 드라마틱하게 보여주었던 것이다.

나치수용소의 경험을 담아낸 빅터 프랭클의 책, 니코스 카잔차키스의 소설, 칼릴 지브란의 잠언, 노먼 베쑨과 체 게바라 전기 같은 책들도 언제나 반추해보곤 하는 목록들이다. 지난 96년 나는 출판계로부터의 퇴출(?)을 자청하였다.

그러고 맡게 된 것이 '헤이리'라고 하는 문화예술도시를 만드는 일이다.

헤아려보니 그것은 표현방법만 다를 뿐 국토 위에 한권의 거대한 책을 기획해내는 일이랄 수 있었다. 미술.음악.영화.연극.출판 등 여러 장르를 대표하는 문화예술인들이 모여 새로운 패러다임의 문화도시, 대안의 공간을 실험하는 일이라니 얼마나 가슴 뛰는가.

결국 나는 내 삶의 시발점이며 현재 딛고 서있는 자리 모두 책과 불가분의 관계에 있음을 자인하지 않을 수 없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