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교 예정부지 아파트 용지로 바뀌어 로비 의혹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23면

학교부지로 예정됐던 땅이 아파트 용지로 바뀐데 대해 주민들이 교육당국에 의혹의 시선을 보내고 있다.

주택공사 전남지사는 지난 5월 광주시 북구 두암동 주공 1~4단지 인근 학교용지 4천7백30평을 ㈜M주택산업에 73억여원을 받고 팔았다.

이 땅은 1989년 주공 두암지구가 개발될 때부터 고등학교 부지로 지정됐으나 지난해 12월29일 광주시 도시계획위원회에서 택지로 용도 변경됐던 것.

이 과정에서 시교육청은 장기간 학교 건물이 건립되지않아 재산 손실을 입고 있다며 용도 변경을 요구하는 주공 편에 서서 결국 '더 이상 학교부지 존속이 필요치않다'는 의견을 시 도시계획위원회에 제시한 것으로 밝혀졌다.

그러나 두암.풍향.산수동 등 인근 주민들은 "교육청이 학생 수요도 제대로 따져보지 않은 채 주공측 입장에서 부지 용도 변경을 추진했다"며 반발하고 있다.

실제로 10만여명이 거주하는 이들 3개 동에는 인문계 고교가 남고(동신고)와 여고(동신여고)뿐이어서 학생들이 원거리 통학에 시달리고 있다.

이 일대 거주하는 대부분 학생은 조대부속고.여고, 살레시오여고, 광주고 등으로 배정받아 두암지구 학교용지에 고교가 설립될 경우 겪지 않아도 될 통학 불편에 시달리고 있다.

시 교육청 관계자는 "학생 수 감소로 고교 수요가 없어 용도 변경을 추진한 것"이라고 말했다. 특히 박모(45.북구 두암동)씨 등 주민들은 "일반적으로 공공용지는 부지 조성 원가에 해당 기관에 팔리지만 용도 전환을 통해 공동 택지로 매각될 경우 거액의 차익을 남겨 교육당국이 주공.건설업체 등의 로비에 항복한 것이 아니냐"는 의혹을 제기했다.

구두훈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