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장장 부지 확정… 남은 과제는]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25면

5일 서울시가 추모공원 부지를 서초구 원지동으로 사실상 확정함에 따라 추모공원 건립이 가시화됐다. 그러나 지역 주민들과 자치단체의 반발이 만만치 않다.

시는 이를 무마하기 위해 각종 인센티브를 제공하고 최첨단 화장시설에 대한 홍보를 강화한다는 계획이다.

◇ 추모공원 시급하다=서울시는 경기도 파주시 용미리와 고양시 벽제리의 시립 납골당이 내년 3월이면 포화상태에 이르는 만큼 "추모공원 건립을 하루라도 늦출 수 없다" 는 입장을 분명히 했다.

서울시 김상돈(金相敦)보건복지국장은 "1996년에는 30%에 불과하던 서울시민의 화장률이 올해 50%를 넘어설 전망" 이라며 "2005년에는 66.9%, 2010년에는 70%까지 높아지는 화장 수요를 감당하기 위해서는 추모공원 건립이 시급한 실정" 이라고 말했다.

연내 착공할 추모공원은 5만평 규모로 20기의 화장로와 장례식장, 5만위를 수용하는 납골당이 함께 들어선다.

시는 화장 관련 시설을 전체 면적의 5% 이내로 제한하고 분수대와 조각공원, 산책로와 게이트볼장 등을 만들어 공원화한다는 점을 강조하고 있다.

◇ 인센티브안=서울시는 건립부지의 약 15%를 소유하고 있는 원지동 세원마을(1백가구) 주민들과 3백m 이내의 청룡.원터마을(1백50가구) 지역주민들을 대상으로 한 구체적인 인센티브안을 마련했다.

우선 30년간 그린벨트로 묶여 있던 부지에 대한 규제를 완화해 지역주민들의 토지 보상 가격을 높인다는 계획이다.

이외에도 서울시는 ▶추모공원 시설에 지역 주민들을 우선 취업시키고▶추모공원 주변에 들어설 상가 등을 통해 주민 경제활동을 지원하며▶주민 자녀들에게 장학금을 지급하고▶지역 기반시설 및 편의시설을 확충하는 등의 대책을 제시할 예정이다.

또 시는 추모공원 이용차량으로 교통체증이 야기될 것이라는 우려에 대한 대책도 마련했다.

양재동 화물터미널~양곡도매시장의 25m 도로를 3백m 가량 확장해 추모공원까지 이어지는 도로와 추모공원행 버스노선을 신설할 계획이다.

백성호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