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언론고발] 고발된 6개사 입장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30면

국세청이 29일 검찰에 고발한 신문사 여섯곳 대부분은 세무조사 결과 발표 내용이 세무회계와 기업회계 관행의 차이 등에서 발생한 만큼 실수나 오류가 있다면 이를 인정하고 사과하겠다는 입장을 밝혔다.

그러나 일부 신문사는 국세청이 추징세액의 규모나 내용을 부풀렸으며 적절한 해명 기회도 주지 않고 언론사를 부도덕한 집단으로 몰아갔다고 반발했다.

조선일보사는 "우리에게 실수가 있었다면 이를 인정하고 국민에게 사과할 것" 이라고 밝혔다. 그러나 "무가지 등에 대한 무리한 과세 등 논란이 있는 부분은 법정에서 문제를 해결하겠다" 고 덧붙였다.

이 신문의 한 관계자는 "증여세만 해도 실제 증빙서류가 부실해서 문제가 생겼다" 며 "국세청이 이미 낸 증여세에 대해 이중, 삼중으로 물리는 등 조선일보의 이미지를 실추시키려 하고 있다" 고 주장했다.

동아일보의 고위 관계자는 "문제가 있는 부분은 고치겠다. 그러나 회사의 생존을 위협하는 이번 세무조사는 사주에 대한 압력을 통해 경영권을 훼손하는 차원에서 이뤄졌다" 고 주장했다. 그는 "특히 상속.증여세 부분은 의도적으로 부풀렸고 명의신탁 부분도 명의신탁자에게 넘길 때와 다시 실명 전환할 때 이중으로 부과하는 등 신문사와 사주의 이미지 실추를 겨냥했다" 고 말했다.

중앙일보사는 "추징액의 40% 정도인 무가지 부분에 논란이 많기 때문에 법적 절차에 따라 이의신청을 하겠다" 고 밝혔다.

국민일보는 이날 '간과된 국민일보의 특수성' 제목의 사설에서 "IMF 위기 이래 구조조정 과정에서의 기술적 미숙함이 형식상의 문제점을 누적시켜 사태를 초래했다" 며 "탈세 의심을 받아 독자들께 걱정을 끼쳐드린 책임을 통감한다" 고 밝혔다.

사설은 그러나 "영리를 목적으로 하지 않는 사업체에 대해 영리사업체의 기준을 동일하게 적용해서 생긴 부당한 혐의는 벗겨져야 한다" 며 "하나님의 가호와 독자들의 신뢰, 격려와 사랑이 있는 한 어려움을 극복해낼 수 있을 것" 이라고 강조했다.

대한매일은 법인과 임직원 4명이 고발된 데 대해 "국세청이 다른 신문사 사주를 고발하면서 표적수사 시비를 우려해 우리 회사도 끼워넣었다" 며 반발했다.

이 신문 관계자는 "사장이 정기적으로 바뀌는 대한매일은 사주가 있는 다른 신문처럼 광고수입을 조직적으로 탈루하거나 횡령하는 것이 불가능하다" 며 "국세청 추징세액의 대부분이 업계의 관행이나 세법에 비춰볼 때 승복할 수 없는 만큼 이의신청을 하겠다" 고 말했다.

한편 한국일보 관계자는 "고발된 다른 언론사에 비하면 추징액(1백48억원)이 적지만 회사 사정에 비춰보면 어려움이 많다" 며 "신문업계의 현실에 배치되고 법리해석에 차이가 있는 부분은 국세청 주장을 받아들이기 어렵다" 고 밝혔다.

김기평.김상우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