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태일 충북개발연 원장 인터뷰]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8면

국토의 중심부에 위치한 충북은 오창 IT산업단지와 오송 BT산업단지를 지역 발전전략의 양대 축으로 삼고 있다. 일단 방향 설정은 잘된 것으로 평가된다.

오창의 경우 토지이용 계획의 용도간 배분도 적절하다. 그러나 연구 및 대학교육 기능을 경시하고 공장용지 위주로 분양전략을 짠 것은 아쉬움을 준다. 또 분양기업 가운데 IT를 위주로 하면서도 여타 업종을 혼합하는 경우가 많은데 앞으로 지역특화 전략을 살리기 위해서는 옥석을 가려야 한다.

오송은 국내 BT산업의 기반이 취약해 정부의 노력 없이는 성공적인 개발을 기약할 수 없는 형편이다. 규모가 축소되는 과정에서 의과대는 빠졌지만 대학병원이나 한방병원이 들어온다면 핵심기능을 할 수 있을 것이다. 오송역이 경부고속철도 개통에 때맞춰 개통만 된다면 발전을 앞당길 수 있다.

특히 최근 논의가 분분한 호남고속철도 분기점의 오송 유치는 절실한 과제다. 천안분기점은 호남 주민들의 서울 접근성을 높여 수도권 집중을 더욱 조장할 가능성이 있다. 따라서 국토의 균형 발전을 위해 오송역 설치가 불가피하다.

이밖에 전통적인 공업단지의 이미지에서 벗어나는 것도 충북지역 두 미래형 산업단지의 과제다. 분공장이나 유치해 생산기지로만 이용된다면 그 비중이 아무리 커져도 의미가 없다. 본사와 연구소가 함께 이전해야 지방의 경쟁력이 높아지는 만큼 본사 유치를 위한 각별한 전략과 노력이 필요하다.

이에는 정부 기관의 대담한 지방 분산과 기능 이양이 전제돼야 한다. 자치단체가 시야를 해외로 돌려 보다 조직적으로 투자유치를 하는 데도 게을리하지 말아야 할 것이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