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합뉴스·대한매일 소유구조 개편 안간힘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11면

연합뉴스와 대한매일이 소유구조 개편을 위해 박차를 가하고 있다. 재정난 타개와 이미지 쇄신을 위해서다. 두 회사는 올해 안에 작업을 마무리한다는 목표 아래 정부.정치권 등을 상대로 여론 확산작업에 들어갔다.

그러나 방향은 사뭇 다르다. 연합뉴스는 AFP통신을 모델로 정부의 지원을 받으려 하고 있는 반면 대한매일은 민영화로 가닥을 잡았다.

◇ 연합뉴스=정부입법이나 의원입법 형식으로 특별법인 '연합뉴스사법' 을 만들어 국가 기간(基幹)통신사로 자리매김하겠다는 구상이다. 13억원의 자본금과 6백억원의 1년 예산으로는 외국 대형 통신사와 경쟁이 되지 않고 정보주권마저 위협받는다는 입장이다.

박종문(朴鍾文)경영기획실 기획위원은 "국제통화기금(IMF)체제 이후 구독료(전재료)가 동결되면서 몇년째 영업적자를 냈고 올해도 마찬가지일 것으로 본다" 고 밝혔다.

연합뉴스사법안에는 정보 제공의 최대수혜자인 정부와 연간 구독료 협정을 체결하는 조항이 담겨 있다. 협정이 맺어질 경우 전체 수입의 30~40%를 정부에서 지원받을 수 있을 것으로 보고 있다.

필요하면 보조금을 정부에 요구할 수 있는 근거도 두기로 했다. 그러나 정부의 간섭을 금지하는 조항을 명문화해 편집권 독립과 인사의 공정성을 확보하기로 했다.

이에 대해 문화관광부 관계자는 "경쟁 통신사가 없는 상황에서 특별법을 만들어 독점적인 통신사를 인정할 경우 특혜시비를 불러일으킬 우려가 있어 신중히 검토할 필요가 있다" 고 밝혔다.

박영상(朴永祥.신문방송학)한양대 교수는 "재원의 많은 부분을 정부에 의존하면 정부에 예속될 위험성이 있는 만큼 증자(增資)와 경영합리화 등으로 위기를 극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고 지적했다.

연합뉴스는 당초 유상증자를 통해 공영통신사로 거듭나려 했으나 경기불황으로 기업 등의 반응이 좋지 않자 이달 초 사원투표를 실시, 참가자 61%의 찬성으로 연합뉴스사법 제정쪽으로 방향을 바꿨다.

◇ 대한매일〓재정경제부 50%, 포철 36.7%, KBS 13.3%의 현재 지분구도로는 정상적인 언론 역할을 기대하기 어렵다고 보고 있다. 경영사정도 나빠 1995년부터 지난해까지 6년간 누적 영업적자가 1천1백억원에 이른다.

이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정부의 영향력에서 벗어나는 것이 급선무라는 판단이다.

1단계로 자본금을 50% 감자(減資)한 뒤 1백% 유상증자를 통해 정부 지분을 25%선으로 낮출 것을 검토 중이다. 증자과정에서 신규주주 영입에 나서되 여의치 않으면 우리사주조합을 만들어 주식을 인수하겠다는 계획이다.

2단계로 정부의 잔여지분을 공익재단에 출연하거나 매각하도록 해 정부가 경영에서 완전히 손을 떼도록 한다는 것이다.

칼자루는 정부가 쥐고 있다. 대한매일의 독자 생존 가능성을 검토하고 정부가 신문을 소유하지 않는데 따른 이해득실을 따져 고위층에서 단안을 내릴 것으로 보인다.

대한매일 관계자는 "소유구조 개편은 김대중 대통령의 대선공약이며 정부가 신문을 소유하는 것은 민주주의 국가에서 사례가 없다" 고 강조했다.

김상우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