또 불댕긴 기여입학… 연세대 허용 여부 논란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29면

연세대가 17일 2002학년도 대입에서 교육인적자원부의 불허 방침에도 불구하고 기여 입학제 도입을 강행키로 했다.

연세대는 지난 3월 대학이 교육부에 허용을 요구했던 기여우대 입학제 내용 중 기부금 같은 물질적인 기여는 제외한 반면 비(非)물질적 기여를 포함시켰다. 하지만 교육부는 이날 "물질적이든 비물질적이든 특정 대학과 관련한 기여 입학은 현행 규정상 안된다" 는 입장을 밝혔다.

◇ 기여 입학 재추진〓김우식(金雨植.사진)총장은 지난 16일 기자들과 만나 "외솔 최현배 선생이나 백낙준 초대 총장 등 학교와 사회 발전에 동시에 이바지한 분들의 후손들이 연세대에 입학할 때 우대해주는 방안을 추진하겠다" 며 "후손의 명단 작성을 지시했다" 고 말했다.

연세대는 1990년대 초반부터 기부금 입학제의 도입 필요성을 주장해 왔다. 사립대에 대한 국가 지원이 실질 운영비의 10%에도 못미치는 실정에서 사립대 재정난을 타개하는 방안으로 기여 입학제 도입을 주장한 것. 98학년도부터는 특별전형 유형 중 '사회 기여' 라는 말을 넣었지만 실제론 소년소녀 가장 등 사회적인 배려 대상자 위주로 선발했다.

◇ 교육부는 불허〓비물질적 기여 입학에 대한 교육부의 반대는 고등교육법시행령 제34조 '사회통념적 가치기준에 적합' 이라는 문구에 근거하고 있다.

교육부 관계자는 "법령상 사회적 배려자.소외자에 대한 차등적 보상으로 입학을 허용할 수 있으나 기여 입학제는 부모를 잘 만났다는 이유로 대입 때 유리해지는 등 공정한 경쟁이 아니다" 고 말했다.

이 관계자는 "특히 연세대가 학교 기여를 포함한 기준을 내세우고 있으나 허용할 수 없다" 며 "비물질적 기여 역시 대학이 자의적으로 운영할 수 있다" 고 덧붙였다.

강홍준.손민호 기자

▶ '불댕긴 기여입학제' 관련기사 모음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