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나라 "현대 회생 가능성 의문"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3면

"현대 부채의 실체가 아직 드러나지 않았다. "

한나라당 '현대그룹 특혜지원 진상조사특위' (위원장 李富榮)는 8일 회의를 열고 이같이 주장했다. 간사인 안택수(安澤秀)의원은 "현대의 부실은 결국 국민 부담으로 이어지는 만큼 정치권이 공론화해야 한다는 결론을 내렸다" 고 전했다.

회의에선 특히 정몽헌(鄭夢憲)회장 계열의 현대그룹 부채 규모(금융감독원은 36조원으로 파악)가 논란거리였다.

이한구(李漢久)의원은 "현대 계열사들은 패키지로 움직이며, 분식회계 가능성도 있는 만큼 실제 그룹의 총부채는 정부 발표 이상일 수 있다" 고 말했다.

또 "현대건설의 부채를 두고 금감원은 5조5천억원으로 파악한 반면, 삼일회계법인은 4조6천억원으로 봤다" 며 "자료마다 숫자가 달라 더 의심이 간다" 고 덧붙였다.

회생 가능성에 대해 안택수 의원은 "현대건설은 연간 2천억원 이상의 영업이익을 내야 현상유지할 수 있는데 지난해 당기순손실이 2조9천억원이었다" 며 "작고한 정주영(鄭周永)명예회장의 리더십을 살려내는 게 필수란 평가던데 가능한가" 라고 물었다.

"현대건설의 우수 사원들이 퇴사하고 있고, 해외 건설 수주액이 현저히 줄어드는 게 심각한 문제" (安炅律), "하이닉스반도체(옛 현대전자)를 삼성전자 수준으로 올리려면 10조원의 신규자금 지원이 필요하다" (黃勝敏)는 진단도 나왔다.

특위는 금감원 등을 상대로 조사활동을 벌인 뒤 5월 말께 입장정리를 하기로 했다. 한나라당의 현대 추궁은 이회창 총재가 지시한 것이라고 한 당직자는 전했다.

그는 "당내에선 현대 문제는 현정권에서 불거진 문제인 만큼 현정권에서 책임져야 한다는 의견이 많다" 고 전했다.

고정애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