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들의 에이즈' 감염 알면서도 팔아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29면

韓모(27.여.서울 상계동)씨는 지난 3월 서울 충무로 A애견센터에서 강아지 한마리를 샀다. 44만5천원짜리 닥스훈트종.

그러나 집으로 가는 버스에서 혈변을 쏟던 강아지는 시름시름 앓다 닷새 만에 죽었다. 가게에선 "사가기 전엔 건강했다" 며 치료를 거절했고, 죽은 뒤에도 "책임이 없다" 고 주장했다. 결국 국립수의과학검역원에서 강아지가 '파보 바이러스' 에 감염돼 있었다는 판정을 받은 韓씨는 애견센터를 상대로 손해배상 청구소송을 냈다.

애견센터가 위생 사각지대다.

홍역은 물론 치사율 90% 이상으로 '개들의 AIDS' 로 불리는 파보 바이러스에 전염된 강아지들도 적잖이 팔린다.

"일부 업소에선 병든 애완견에 마약성분이 든 약을 투여한다. 그러면 삼사일은 생생해 보인다. " 충무로 한 애견센터 종업원 C씨의 말이다.

올들어 애완견의 질병.폐사와 관련해 소비자보호원에 접수된 사례는 6백78건. 지난해 같은 기간(5백38건)보다 26% 늘었다.

여기엔 업소들의 위생불감증, 그리고 현실과 동떨어진 접종.방역 규정도 한몫한다.

애완견 거리로 자리잡은 충무로.퇴계로 일대조차 단 한차례의 방역이나 질병예방 단속이 없었다. "가축 방역은 자치단체의 일" 이라는 농림부측의 말에 서울 중구청 관계자는 "애완견 전염병은 법정전염병이 아니어서 방역의무가 없다" 고 따진다.

예방접종과 관련, "생후 4주부터 접종이 가능한데 그보다 어릴 때 주로 팔리는 탓에 기회가 없다" 는 것이 애견센터측의 말. 그래서 "질병 면역력이 생기는 생후 8주 이후에만 매매가 가능하도록 해야 한다" (수의사 권대헌.61)는 주장도 나온다.

손민호.강정현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