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남권 화물터미널 입지 선정 앞두고 경합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27면

대구.경북지역 화물수송기지가 될 영남권복합화물터미널을 둘러싼 대구.칠곡간 유치경쟁이 치열하다. 지난 10여년간 표류해온 입지 선정 작업이 이달말 용역결과 발표로 마무리 될 전망이기 때문이다.

영남권복합화물터미널은 연간 3억t이상의 물동량을 발생시켜 최소한 7천여명의 고용효과와 연간 6천억원의 생산.소득 유발효과를 낼 것으로 추산되고 있다.

대구시는 최근 상공회의소 명의로 입지선정용역을 맡은 교통개발연구원과 건교부 등에 대구유치의 타당성을 주장하는 건의서를 보냈다.

대구상의는 건의서에서 "영남권복합화물터미널은 지역 중심도시인 대구에 유치하고 칠곡.김천은 배후기능을 맡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고 주장했다.

특히 1999년부터 예정지로 거론된 칠곡지역(지천면 연화리)에 대해서는 이곳이 경부고속도로와 경부선 철도만의 연계가 가능한데 비해 대구는 7개 고속도로와 철도가 통과해 비교우위를 지닌다고 지적했다.

시는 또 다음주엔 관계공무원을 교통개발연구원에 보내 영남권화물터미널을 현재 건설중인 대구서부화물역으로 지정할 것을 요청키로 했다.

이에 대해 칠곡군은 "물류기지는 땅값이 싸고 개발여지가 많은 경북지역에 건설돼야 한다" 며 이번에야말로 입지 논란에 종지부를 찍겠다는 태세다.

95년 1차 입지선정에서 아포읍 대신리가 후보지로 선정됐던 김천시도 "정치논리 때문에 입지가 번복됐다" 며 올들어 지역출신 국회의원 등을 통해 '복합화물터미널 되찾기' 에 나섰다.

김천 아포지역은 '역물류 비용을 발생시킬 우려가 있다' 는 98년 감사원 감사결과에 따라 후보지에서 탈락됐었다. 권역별 복합화물터미널은 과도한 도로수송비율(95%)에 따른 물류비 부담을 줄이기 위해 철도.도로 연계수송기지를 건설하는 것으로 정부가 90년대 초부터 전국 5개 권역별로 추진해오고 있다.

이에 따라 수도권(부곡).부산권(양산)에서는 이미 운영에 들어갔으며 중부권(청원).호남권(장성)도 입지를 확정하고 설계단계에 들어가 있다.

그러나 영남권복합화물터미널은 지역별 개발열기와 정치권의 입김 등에 떼밀려 10년째 엎치락 뒤치락 하고 있다.

정기환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