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안한 여권' 정국운영 고심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1면

민주당은 국회 본회의 인권법 표결(30일)과정에서 자민련.민국당과의 3당 정책연합이 한나라당.무소속 진영에 1석의 우위밖에 지키지 못한 점을 중시, 정국 운영방식에 대한 재점검에 들어간 것으로 알려졌다.

민주당은 인권법 표결 뒤 이한동(李漢東)총리 해임건의안 처리 과정에서 채택한 '선별투표' 방식을 놓고 가팔라진 정국 대치상황을 정리하기 위해 냉각기를 갖기로 했다.

민주당 고위관계자는 1일 "해임건의안 후유증과 인권법 표결결과가 국정운영에 차질을 빚어서는 안된다" 면서 "3당 정책연합의 결속력 강화와 민생정책의 주도권 확보 등 정국 장악력을 높이기 위한 대책을 마련하고 있다" 고 말했다.

이와 함께 민주당은 5월 임시국회를 "강삼재(姜三載)의원 보호를 위한 한나라당의 방탄국회" 라며 거부하고 추경편성을 통한 실업대책을 마련하는 등 국회 논의 대신 정부와의 당정협의를 통해 민생에 주력하는 모습을 보이기로 했다.

이 관계자는 "안정적인 정국운영을 위해 '무소속' 김용환(金龍煥.한국신당).강창희(姜昌熙).정몽준(鄭夢準)의원에 대한 설득작업을 펼 계획" 이라고 밝혔다.

한나라당은 5월 임시국회에서 해임건의안 파행 책임을 추궁하고 6월 임시국회에서 李총리에 대한 해임건의안을 다시 제출할 방침이다.

◇ 인권법 표결 내용=한나라당이 제출한 국가인권위원회법(일명 인권법) 표결은 찬성 1백36표(한나라당 1백33명+무소속 3명), 반대 1백37표(민주당 1백15명+자민련 20명+민국당 2명)로 부결됐다. 민주당 안(案)은 1백37 대 1백33표로 통과됐다.

이양수.서승욱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