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난 시달리는 중남미 달러 통화 사용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32면

중남미에서 달러를 공식 통화로 사용하는 국가들이 늘고 있다. 이른바 '달러라이제이션(Dollarization)' 이다.

과테말라 정부는 자국 화폐인 '퀘찰' 외에 달러도 공식 통화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법안을 제정해 1일(현지시간)부터 시행하기로 했다. 과테말라의 달러 도입은 중남미에서는 파나마.에콰도르.엘살바도르에 이어 네번째다.

달러를 공식 통화로 사용하면 미국 경제가 괜찮은 한 인플레나 경기침체를 염려하지 않아도 되기 때문에 경제난에 시달리는 중남미 국가들에 달러라이제이션은 경제회생의 일종의 특효약처럼 여겨지고 있다. 이런 이유로 달러를 통화로 사용하는 국가들은 갈수록 늘어날 전망이다.

◇ 힘센 화폐가 좋다=과테말라 정부는 "인플레를 진정시키고 외국인 투자를 늘리기 위해 달러를 사용키로 결정했다" 고 말했다. 퀘찰 가치가 최근 달러당 7.8퀘찰로 8년만의 최저치를 기록하는 등 금융 시장이 불안하다는 점도 고려됐다.

달러가 인기를 얻는 이유는 세계의 기축통화로서 화폐 가치가 안정돼 있기 때문이다. 달러를 공식 화폐로 사용하면 환율이 안정돼 외환위기 걱정은 안해도 된다. 또 미국 경제와 한 배를 타는 효과가 있어 채권 발행이나 외자 도입 등이 유리해진다.

이같은 장점 때문에 에콰도르는 지난해 9월 자국 통화인 '수크레' 를 버리고 달러를 공식 통화로 사용하고 있다. 이어 올 1월에는 엘살바도르도 '콜론' 과 달러를 같이 사용하기로 했다. 현재 아르헨티나.베네수엘라 등도 달러 도입을 논의 중이다.

◇ 경제 주권 상실이 문제=달러의 종주국인 미국의 입김에 얽매여 독자적인 통화.금리정책을 수행하기 어렵게 된다. 달러 도입국에서 "경제 주권을 빼앗기는 행위" 라며 반발이 잇따랐던 것도 그 때문이다.

스스로 돈을 찍어낼 수 없기 때문에 중앙은행의 역할도 크게 줄어든다. 예컨대 은행 등 금융기관이 위기에 빠지더라도 긴급 자금을 수혈할 수 없게 된다. 미국 경제가 불황에 빠질 경우 그 충격파가 곧바로 달러 도입국에 들이닥치게 된다는 점도 문제다.

김준술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