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시내 화장장 후보지 선정 공방 가열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23면

서울지역 납골당 후보지로 거론되는 서초구 내곡동의 청계산 인근 주민들이 집단 반발하고 있는 가운데 서울시와 장묘 관련 시민단체가 부지 선정의 불가피성을 강조하고 나서는 등 양측의 공방이 가열되고 있다.

서울시로부터 납골당 부지 선정을 위임받은 장묘문화개혁협의회(이사장 金相廈.이하 장묘협)는 21일 오후 2시 대한상공회의소에서 '장묘문화 개선을 위한 시민토론회' 를 열었다.

이 자리에서 내곡동 주민들은 교통난과 환경오염 등을 들어 납골당 설치 백지화를 요구했다. 그러나 장묘협측은 "지방자치제 실시로 서울시 시설을 더는 지방으로 떠넘길 수 없다" 며 복지정책의 일환인 납골당 설치를 지역 주민의 반대에 밀려 취소할 수 없다는 입장을 고수했다.

◇ 교통난 공방〓 '청계산.내곡동 화장터 건립반대 투쟁위원회' (위원장 韓鎭燮.이하 반대위)는 "경부고속도로에서 납골당으로 들어가는 램프를 설치하기 어려운데다 청계산으로 가는 왕복 2차로만으로 교통량을 감당할 수 없다" 고 주장했다.

이에 대해 장묘협측은 "납골당 입지가 정해지면 서울시가 교통 대책을 마련할 것" 이라고 말했다.

◇ 환경오염 시비〓토론회에 참석한 주민들은 유족들이 가져가고 남은 재는 대형 선풍기로 날려보낸다고 지적, 환경오염을 우려했다.

이에 장묘협 박복순 사무총장은 "최신 화장 시설에선 1, 2차 연소를 거치고 남은 먼지는 집진기 등 설비를 이용해 모으기 때문에 대기를 오염시킬 염려가 없다" 고 반박했다.

◇ 청계산 훼손 논란〓납골당이 들어설 경우 강남의 허파인 청계산이 훼손돼 시민들의 쉼터가 사라진다는 우려도 제기됐다.

그러나 이날 토론회에 발제자로 참석한 환경운동연합 최열 사무총장은 "사자(死者)가 산 사람보다 3~4배나 넓은 공간을 차지하고 있다" 며 "납골당이 들어서는 지역 주변을 공원처럼 꾸며 시민들의 휴식처로 활용해야 할 것" 이라고 밝혔다.

◇ 주민 재산피해 우려〓주민들은 "납골당이 들어설 경우 인근의 땅값과 주택가격이 크게 떨어질 것" 이라며 걱정하고 있다.

장묘협측은 "벽제 화장장 주변에서 이미 확인됐듯 납골당이 생기면 상가가 들어서 오히려 지역 경제 활성화에 도움을 줄 것" 이라고 말했다.

한편 서울시는 기존의 시립묘지가 포화 상태에 이르자 지난해 8월 5만평의 부지에 4백억~5백억원을 들여 5만위를 수용하는 대규모 납골당을 서울 시내에 마련키로 했다.

이에 따라 서울시는 지난해 12월 환경운동가와 교통.도시계획전문가 등으로 구성된 추진위원회를 결성, 후보지 13곳에 대한 심사위원별 채점을 마쳤다. 최종 후보지는 다음주에 발표된다.

백성호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