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학 성적은 수능과 무관"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27면

대입 전형에서 수능 성적만으로 뽑은 학생의 대학 학업 성취도가 고교장 추천과 면접 위주로 선발한 학생보다 뒤진 것으로 조사됐다. 이는 수능 성적이 우수한 학생을 뽑는 데 잣대가 아님을 시사하는 것이어서 주목된다.

포항공대는 22일 1997~2000학년도 입학생 1천1백52명(자퇴.제적생 제외)의 입학전형별(고교장 추천.특차모집.정시모집)수능 점수와 재학 중 학업성취도(학점)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보고서를 냈다. 대학생의 입학 때 수능 성적과 입학 후 학업 성취도를 비교.분석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포항공대는 이 결과에 따라 올 입시부터 수능 성적 반영 비율을 대폭 줄여 전체 모집 인원의 70%를 수능 성적과 관계없이 수시 모집을 통해 선발하기로 했다.

◇ 수능 우수자가 학업 우수자 아니다〓조사 결과 고교장 추천 전형(수능 50%+추천서 30%+심층 면접 20%)으로 입학한 학생은 특차 모집(수능 1백%).정시 모집(수능 50%+학생부 50%)합격자에 비해 입학 때 수능 평균 점수가 연도에 따라 4.1~18.8점이 낮다.

2000학년도 신입생 중 고교장 추천 합격자의 수능 상위 백분위는 2.55%인 반면 특차 합격자는 0.6%, 정시 합격자는 1.2%다.

하지만 입학 후엔 사정이 달라진다. 추천 입학생의 97~2000학년도 평균 학점은 교양 3.18점, 전공 2.95점으로 정시나 특차 합격자보다 높다.

수능 성적이 상대적으로 뛰어난 특차 합격자의 재학 중 학점이 가장 낮았다. 재학 중 학점이 우수한 학생(4.3만점에 3.4점 이상)의 비율도 고교장 추천 입학생이 높게 나타났다.

◇ 왜 그런가〓이 대학 이재성(李在成)학생처장은 "추천서와 면접을 통해 특정 전공분야에 탁월한 수학능력을 갖춘 학생이 제대로 선발된 것" 이라며 "수능시험을 토대로 한 입시제도에 근본적인 문제점이 있는 것으로 해석된다" 고 말했다.

한 줄 세우기식 수능 성적에 의한 선발보다 고교 때 학생회 임원 경력 등 다양한 활동이 있으면 유리한 고교장 추천서와 심층 면접 방식이 우수한 학생을 선발하는데 기여했다고 분석했다.

강홍준 기자

▶2001학년도 대학입시 특집 페이지

(http://www.joins.com/series/2001univ/)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