랩어카운트(종합자산관리 상품)도 펀드가 대세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경제 08면

증권사들이 큰손 고객들의 돈을 대신 굴려주는 랩어카운트(종합자산관리 상품)에도 펀드 바람이 불고 있다. 랩상품 가입자들이 주식.채권에 직접 투자하기보다는 펀드를 통해 간접 투자하기를 더 바라고 있기 때문이다.

21일 금융감독원에 따르면 지난 9월 말 현재 증권사들의 일임형 랩어카운트 상품 잔액은 총 4조5500여억원으로, 이 중 펀드형의 비중은 개별 주식형을 제치고 50%를 넘어섰다.

금융감독원 한윤규 증권업무팀장은 "지난 6개월 사이에 펀드형은 두 배 가량 늘어났지만 주식형은 40%에서 절반으로 줄었다"며 "간접투자가 대세로 정착하는 것 같다"고 말했다.

실제 대신증권이 지난 7월 19일부터 판매한 적립식 펀드형 상품인 리더스랩에는 1640여억원이 몰렸다. 대한투자증권이 7월 말 판매를 시작한 엄브렐러펀드형 상품도 800여억원이 팔렸다.

현대증권의 경우도 지난 5월 이후 주식형은 3분의 1로 줄어들었지만 적립식 펀드상품에 약 320억원이 새로 들어왔다.

대신증권 남기윤 고객자산팀장은 "투자성향에 따라 채권형이든, 주식형 펀드든 골라서 가입할 수 있기 때문에 다양한 고객들이 찾고 있다"며 "직접 투자에 자신이 없는 분들이 주류"라고 말했다. 또 엄브렐러펀드처럼 시장 상황에 따라 인덱스형과 하락형을 갈아 타거나, 펀드 오브 펀드처럼 채권형.주식형 등 여러 펀드를 하나의 랩 안에 싸넣을 수 있다는 것도 장점으로 꼽힌다.

하지만 일부에서는 펀드를 전문적으로 개발.운용하는 투신사가 아닌 증권사가 펀드형 랩상품을 관리하기 때문에 전문적인 자산관리 서비스 수준은 떨어질 것이란 지적도 있다.

또 다양한 펀드를 하나로 포장하다 보면 증권사에 내는 일임수수료 외에 개별 펀드운용에 들어가는 보수까지 더해져 총 수수료가 높아지지 않을까란 우려도 있다.

현대증권 이완규 자산관리기획팀장은 "증권사의 펀드형랩 수수료는 MMF형.채권형.주식형 등 편입 펀드별로 연 0.5~3%까지 큰 차가 있다"며 "투자자의 주의가 요구된다"고 말했다.

미래에셋증권 이정호 투자전략실장은 "고객들이 증권사에 주식투자를 일임했다가 다시 펀드로 갈아타는 것은 증권사의 종목선택 능력을 불신하는 부분도 크다"며 "하지만 펀드형 랩투자의 성패도 증권사의 자산관리능력에 달려 있다"고 지적했다.

◆ 일임형 랩어카운트=증권사에서 운용하는 종합자산관리 상품으로, 증권사의 금융자산관리사(FP)가 고객의 재산을 일임받아 개별 주식이나 채권, 펀드 등에 투자.관리해주고 수수료(Wrap fee)를 받는다. 단 투자손실이 나더라도 책임은 전적으로 고객의 몫이다.

정효식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