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힘 받는 김정일 조기 서울답방설]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5면

"상당히 템포가 빠르다."

정부 고위 당국자가 16일 북한 김정일 국방위원장의 대외 행보를 가리킨 말이다. 설(24일)은 지나고 3월 전 께에 중국을 방문할 것으로 예상했다는 것이다. 그러나 전격적으로 15일 베이징(北京)에 도착했다.

이같은 金위원장의 행보에 정부는 기대감을 갖고 있다.

"金위원장의 서울 답방도 예측보다 빨라질 수 있다" (이 당국자)고 보기 때문이다.

그러면서 이 당국자는 "현재 남북 당국간에 金위원장의 서울 답방에 대한 논의가 진행되고 있다" 고 공개했다.

지난해 말 들어 정부측은 金위원장의 서울 답방 문제에 대한 발언을 삼가왔다.

"북한 김영남(金永南)최고인민회의 상임위원장의 준비방문(서울 답방 논의)이 미뤄지면서 확실한 판단을 하지 못했다" 고 또 다른 정부 관계자가 말했다.

김대중(金大中)대통령도 金위원장의 답방 시점을 지난해까지 '2001년 봄' 이라고 말하다 지난 11일 연두회견에서는 '올 상반기' 라고 후퇴했다.

그러던 것이 金위원장의 방중으로 조기 방문론이 힘을 얻은 것이다. 당초 '올 봄(3월)에서 상반기(6월)사이' 라던 예상이 더 빨라진다면 3~4월께가 될 수 있다.

지난 해에도 6월 13일 金대통령의 평양방문 보름 전인 5월 29일 金위원장은 중국을 방문했다.

"미국 부시 행정부의 출범, 상하이 시찰이 포함됐지만 金위원장이 중국 지도부와 나눌 핵심 의제는 서울 답방일 것" 이라고 이 관계자는 분석했다.

金위원장이 신년사에서 '신(新)사고' 를 강조한 데 이어 지난 10일에는 '우리 민족끼리 통일의 문을 여는 대회' 를 열었다고 한다.

또 남북 접촉에서 '1월에 적십자회담을 열자' 는 등 "남북 대화에 적극성을 보이고 있다" 고 그는 말했다.

그러나 金위원장의 서울 답방에는 "해결 과제가 많다" 는 게 북한 전문가들의 대체적인 전망이다.

정부 외교 소식통은 "답방 시점을 최종 조율할 요소는 ▶남쪽의 환영 분위기▶남쪽 경제상황 개선과 전력지원문제▶부시 신 행정부의 대북 자세▶중국.러시아 태도" 라고 꼽았다.

"金대통령이 미국 방문과 국가보안법 개정을 서두르는 것도 그 때문" 이라고 이 소식통은 설명했다.

김진국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