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 이어 전주도 ‘4인 선거구 쪼개기’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23면

전북도의회가 오는 6월 지방선거에 적용할 ‘시·군의회의원 선거구와 선거구별 의원정수에 관한 개정 조례안’을 18일 확정했다.

전북도내 14개 지자체의 시·군의원은 지역구 173명,비례대표 24명 등 총 197명으로 정해졌다.전주지역의 경우 카(인후3동·우아1동·우아2동)와 하(팔복동·조촌동·동산동·송천2동)지역 등 두 곳은 3인 선거구로 조정했다. 또 전주시내 4인 선거구로 추진하던 5곳은 각각 의원 2명씩을 선출하는 선거구로 분할됐다.

익산 지역은 총 8개 선거구중 다(남중동·신동), 아(어양동·팔봉동)지역을 제외한 6개 선거구에서 3명씩 뽑도록 조정했다. 이에 따라 선거구는 전주시 14개, 익산시 8개 등으로 각각 확정됐다.

당초 ‘전북도 시·군의원 선거구획정위원회’는 전주지역의 가(중앙동·풍남동·노송동·완산동·중화산1동·중화산2동), 나(동서학동·서서학동·평화1동·평화2동), 마(효자1·2·3·4동), 바(진북동·금암1동·금암2동·인후1동·인후2동), 아(송천1동·덕진동·호성동)지역 등 5곳은 ‘4인 선거구’안을 상정했다. 하지만 민주당 측은 “ 4인 선거구제가 도입되면 후보가 난립하게 돼 유권자 혼란이 가중되고 대표성이 희박해진다”고 주장해 왔다.전북도의회는 민주당 뜻에 따라 ‘4인 선거구’안을 ‘2인 선거구’로 바꿨다. 현재 전북도의원 37명 가운데 35명이 민주당 소속이다.

이 같은 선거구 수정안에 대해 민노당·진보신당은 “민주당이 4인 선거구제로 바꾸면 한 선거구에서 4석 모두를 차지 못하고 다른 정당에 하나라도 빼앗길 것을 우려해 이 같은 횡포를 저질렀다”며 강력 반발하고 있다. 오은미(민노당)전북도의원은 “참신한 정치 신인의 지방의회 진출을 보장하기 위해 도입한 중대선거구제가 다수당의 지역별 나눠먹기로 전락했다”며 “4인 선거구 쪼개기는 밥그릇 지키기에 불과하다”고 비판했다.

전주시민회도 “겉으로는 민주대연합 운운하면서 자신들에게 유리한 지역에서는 소수정당의 의회 진출을 가로막는 민주당의 표리부동한 시도를 즉각 중단하라”고 촉구했다.

◆광주시의회도 조례통과=광주시의회는 18일 본회의를 열어 4인 선거구제를 2인 선거구제로 분할하는 내용의 기초의원 정수 조례 안을 처리했다. <본보 2월 8일자 25면> 이 과정에서 민주노동당과 진보신당, 시민단체 관계자 50여명이 의원들의 4층 본회의장 입장을 저지하자 강박원 시의회 의장이 경찰에 협조를 요청했다. 이에 따라 이날 오전 11시쯤 경찰 150여명이 투입돼 시위하던 시민단체 관계자들을 해산시켰다.

광주시의회 재적위원 16명 중 14명이 쪽문으로 본회의장에 입장해 찬성 12명, 기권 2명으로 조례 안을 통과시켰다. 애초 선거구획정위원회는 기존 방식대로 4인 선거구제 6곳 등을 시의회에 제시했다. 하지만 민주당 일색인 시의회에서는 민주당 기초의원을 더 많이 배출할 것으로 기대하고 2인선거구제로 쪼개는 안을 선택한 것으로 풀이되고 있다.

장대석·천창환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