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IE] 저축한 돈 어디에 쓰일까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17면

한국은행이 지난달 30일 발표한 '외환 위기 이후의 저축률 추이와 시사점' 보고서에 따르면 도시 근로자 가구의 저축률은 외환 위기 이전인 1997년 29.6%에서 올 상반기엔 22.3%로 떨어졌다.

가계.기업.정부 부문을 합한 총저축률도 1988년을 정점(40.5%)으로 줄곧 하락해 오다 98년에만 반짝 상승했을 뿐 올 상반기엔 32.1%로 다시 추락했다.

소득은 외환 위기 전 수준을 회복하지 못했는데 씀씀이가 헤퍼졌기 때문이다. 저축의 필요성, 올바른 저축과 건전한 소비 태도 등을 알아본다.

◇ 저축의 필요성=가계에서 소득이 발생하면 그 일부가 소비되고 나머지는 저축 형태로 금융기관에 들어가 기업이나 국가의 투자금으로 경제 발전에 활용된다.

가정에서 저축은 화재.지진.홍수.질병.실직 등 재난이 닥쳤을 때 쓸 수 있다. 결혼.대학 등록금.값비싼 물건 구입 등 목돈이 필요할 때, 노후에 편안한 생활을 하는 데 쓰기도 한다.

기업 활동과 국민 경제 발전을 위해서는 저축이 어떻게 활용될까.

◇ 올바른 저축 태도=저축을 늘리려면 필요하지 않은 소비를 억제하고 계획적인 소비를 해야 한다. 또 저축할 돈을 미리 떼놓고 지출하는 습관이 필요하다.

저축을 늘리기 위해 나는 어떤 일을 할 수 있을지 생각해 본다.

◇ 건전한 소비와 절약 자세=소득보다 소비가 많을 때는 저축은커녕 빚을 지게 된다. 소득이 소비보다 많을 때 비로소 저축할 수 있다.

소비를 슬기롭게 하려면 지출 우선 순위를 정하고 필요한 물건만 사는 지혜가 필요하다. 물건이 필요할 때는 여러 가지를 비교해 보고 장.단점을 살펴본 뒤 구입하는 것이 좋다.

무조건 유행을 따르거나 고급품만 선호하는 것은 나쁜 습성이다. 물건의 손질.보관을 잘해 수명을 길게 하는 것도 슬기다.

①학생으로서 가정과 학교에서 할 수 있는 현명한 소비 자세를 구체적으로 정리해 보자.

②절약은 저축의 기본이다. 나의 한달 지출 통계를 뽑은 뒤 절약할 수 있는 부분을 찾아 그 금액을 산출한다.

개인별 통계가 나오면 같은 반 학생들의 것도 비교해 보고, 나아가 학교 단위의 규모도 추정해 보자.

가정에서 이 활동을 실천하면 한 가정이 한 달간 절약할 수 있는 지출 부분과 그 금액을 알 수 있다. 이 활동을 하려면 개인별 용돈 지출 내역과 가계부 기록이 있어야 한다.

③덮어놓고 절약한다고 해서 나라 경제가 좋아지는 것은 아니다. 경제 전반적으로 볼 때 저축만 왕성하고 소비가 위축되면 어떤 현상이 일어날까. 1930년대 세계 대공황도 이런 이유로 일어났다.

신문에서 건전한 소비가 강조된 광고와 그렇지 못한 광고를 가려내 그 이유도 비교.설명해 본다.

◇ 저축의 위력=저학년이라면 신문지를 통해 저축의 위력을 확인하는 활동도 재미있다. 우선 집으로 매일 배달되는 신문 한 부의 두께를 잰다.

그 뒤 한달 동안 모았을 때의 두께를 측정하고, 천장까지 닿으려면 며칠치 신문을 모아야 하는지 추정한다.

또 신문을 폐휴지로 팔 때 한부의 평균 값을 조사한 뒤 천장까지 닿은 신문을 팔았을 때의 수입도 계산해 보도록 한다.

폐휴지를 팔아 모은 돈을 값지게 쓸 수 있는 방법을 찾아보게 하는 것도 인성 교육 차원에서 좋다.

◇ 저축 계명 만들기=우리 주변에는 평생 저축한 자신의 전 재산을 장학금이나 이웃 돕기 성금으로 선뜻 내놓는 사람들이 많다.

관련 기사를 스크랩해 기탁자의 성장 및 저축 과정을 정리해 보고 본받을 점을 '저축 5계명' 이나 '10계명' 으로 정리해 이를 실천해 보자.

◇ 저축 포스터 만들기〓최근 신문 기사에서 낭비가 심한 사람이나 행사를 셋 정도 추려내 이를 소재로 저축 강조 포스터를 만들어 본다.

이 때 신문의 광고를 바탕에 깔고 다른 광고의 카피나 사진 등을 활용하면 색다른 맛을 낼 수 있다.

◇ 마음의 저축=저축은 경제 활동을 하며 열심히 일해 부가 쌓이는 과정이다. 다른 측면에서 보면 많은 책을 읽고 마음의 양식을 쌓는 것도 저축이라고 할 수 있다. 마음의 양식을 쌓기 위해 어떤 일을 할 수 있는지 한 가지만 생각해 실천한다.

이태종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