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친북 논란 교과서'로 한때 정회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08면

5일 열린 국회 교육위원회의 서울시교육청 국정감사에서는 전날 교육인적자원부 국감에 이어 "특정 한국 근.현대사 교과서가 반미.친북.반재벌적 관점에서 기술됐다"는 권철현 한나라당 의원의 발언을 놓고 공방이 이어졌다.

열린우리당 측은 "권 의원은 문제의 고교 역사교과서가 친북.반미의 내용으로 일관하고 좌파적 성향을 띠고 있다고 주장하면서 교과서를 채택한 교육부와 참여정부가 '좌파'성향의 정권인 양 매도하는 '색깔론'을 폈다"면서 "교과서 검정의 실질적 책임을 지고 있는 교육과정평가원장을 참고인으로 채택하자"고 제의했다. 열린우리당 조배숙 의원은 "권 의원이 전후의 문맥을 보지 않고 편향적인 시각에서 내용을 왜곡했다"고 주장했다. 같은 당의 유기홍 의원도 "교과서를 집필한 저자 6명 중 3명은 교수고 나머지 3명은 현직 교사였다"면서 "이들이 운동권이나 간첩이겠느냐"고 말했다.

이에 대해 한나라당 측은 "권 의원은 이념 논쟁을 하자는 것이 아니라 교과서가 역사의 본질과 사실을 기초로 기술돼야 한다는 뜻으로 질의한 것"이라며 "교육부는 권 의원이 지적한 내용을 검토해 정책에 반영해야 한다"고 맞섰다.

한나라당 교육위원회 간사인 이주호 의원은 "문제의 교과서에 대한 질의 등은 오는 21일 실시되는 교육부 국감에서 다시 논의하면 되는 만큼 논쟁을 중단하고 서울시교육청 국감을 진행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처럼 여야가 교과서 논란을 검증하기 위한 참고인 채택을 둘러싼 입장 차이를 좁히지 못해 국감은 오후 7시30분까지 파행을 거듭했다. 그러다 6일 인천교육청에서 열리는 국정감사에 교육과정평가원장과 평가원 기획실장을 참고인으로 부르는 데 여야가 합의, 국감은 다시 시작됐다. 문제의 교과서 집필자들은 이날 국감장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권 의원의 주장을 반박하는 자료를 제시했다. 교과서 대표집필자인 김한종 한국교원대 교수는 "권 의원은 교과서 서술의 전체적 맥락을 무시한 채 자의적으로 일부 부분만을 발췌해 교과서 서술을 제멋대로 해석한 다음 이를 일반적인 역사인식인 양 호도하고 국정감사라는 형식을 통해 언론에 보도케 했다"고 말했다.

하현옥.한애란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