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야 '현대처리 국정조사' 공방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5면

한나라당 이상득(李相得)경제대책특위 위원장은 28일 "정부와 현대간의 정경유착 의혹을 밝히기 위한 국정조사가 필요하다" 고 주장했다.

전날 이한구(李漢久)제2정책조정위원장이 현대 사태의 정부 책임론을 내놓은 뒤 공격 수위를 높인 것이다.

이회창(李會昌)총재가 "현대 사태가 금융시장 전체의 불안요인이 되고 있는 만큼 근본 대책을 찾아보라" 고 지시한데 따른 것이다. 당내 경제브레인들이 모두 이 문제에 달려들었다.

김만제(金滿堤)정책위 부의장은 "현대 사태는 지금 굉장히 심각하다" 며 "잘못 수습될 경우 한보나 기아보다 1백배 정도의 경제 파괴력을 갖고 있다" 고 주장했다.

목요상(睦堯相)정책의장 주재로 열린 긴급 경제대책회의에서는 "현대그룹의 정경유착과 형제간 경영권 분쟁을 시급히 해결해야 한다" 고 강조했다.

구체적으로 "현대그룹에 대북사업의 독점권을 주고, 기아.LG반도체 등을 인수하도록 협조한 게 정경유착 의혹의 근거" (이상득 위원장)라고 강조했다.

그는 "정부가 현대자동차의 계열분리 등 경영권 다툼을 방관하거나 현대전자에 대한 현대중공업의 불법 지급보증을 묵인하고 현대건설 채무를 만기연장해 준 것도 같은 맥락" 이라고 말했다.

金부의장은 "1998년 이후 우리나라 모든 그룹의 구조조정은 자산매각의 방법으로 부채비율을 삭감해온 것" 이라며 "유독 현대만이 정반대의 방향으로 몸을 움직여 왔는데 정부의 비호 없이는 불가능하다" 고 강조했다.

李위원장이나 金부의장은 따라서 "이헌재 재경부장관 등 경제팀은 물러나고 새 경제팀이 현대 사태를 해결해야 한다" 고 주장했다.

이들은 ▶구조조정이 가장 미흡한 현대에 여러차례 구제금융을 지원한 이유▶올 하반기에 도래하는 CBO펀드(12조원), 하이일드펀드(10조원), 회사채(22조원)대책▶금융기관.투자자의 손실대책 등을 정부에 공개질의했다.

이에 대해 민주당은 "야당의 무책임한 공세" 라고 비판했다. 정세균(丁世均)제2정조위원장은 "현대그룹이 채권금융 앞에서 자구노력을 발표한 만큼 큰 무리없이 수습될 것" 이라고 전망했다.

최상연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