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듀 포커스] 대학별 본고사, 대입 선발기준 대안인가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13면

과외를 조장하고 고교 교육을 비정상적으로 만든 주범으로 인식돼온 대학별 국어.영어.수학시험(본고사)이 부활 조짐을 보이자 교육부가 진화에 나섰다.

1997학년도 입시부터 금지해 왔던 본고사가 다시 고개를 들기 시작한 것은 지난해부터다.

고려대.가톨릭대가 지난해 수시모집을 하면서 영.수 시험을 치렀다. 가톨릭대는 올해도 의과대 수시모집에서 영.수 시험을 치르겠다고 발표했으며, 2002학년도부터는 사립대들이 논술고사와 다른 형태의 기초학력 평가 목적의 시험을 도입할 움직임을 보였다.

현재 대학별 본고사는 고등교육법 시행령에 따라 국.공립대에서 금지돼 있다. 시행령엔 논술고사만 실시할 수 있다고 적혀 있기 때문이다.

교육부는 본고사 부활 조짐이 일자 2002학년도부터 본고사 금지 대상을 사립대로 넓히는 것을 골자로 한 시행령 개정을 추진하고 있다.

"학생선발 방식까지 법으로 규정하는 것은 정부가 탈 규제 추세에 역행하겠다는 것" 이라는 대학들의 반발도 있어 의견수렴 작업을 거쳐 다음달 초 입법예고한다는 계획이다.

교육부 관계자는 "본고사 실시는 2002학년도 대입 개혁의 근간을 흔드는 것" 이라고 말했다. 교육부의 입장이 강경하자 가톨릭대는 28일 입시관계자 회의를 열어 영.수 시험 실시를 재검토하기로 했다.

대학들이 본고사의 유혹을 느끼는 이유는 뭘까. 한 대학 관계자는 "입시 전형자료 중 학교생활기록부는 성적 부풀리기로 믿기 어렵고 수능시험은 갈수록 쉬워져 차별성이 없다" 며 "학생 선발의 기준을 삼을 수 있는 입시 도구가 필요하다" 고 밝혔다.

참교육을 위한 전국 학부모회 박인옥 사무처장은 "대학들이 다양한 전형자료를 활용해 학생을 뽑겠다고 하지만 본고사는 학생.학부모에게 엄청난 사교육 부담을 줄 것" 이라며 "사립대도 국.영.수 본고사는 실시할 수 없도록 규제해야 한다" 고 말했다.

강홍준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