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등산 운림온천 개발 논란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25면

무등산 운림온천 개발에 대한 논란이 뜨거워지고 있다. 온천개발 승인의 전 단계인 광주시의 공원계획 변경안 심의가 본격화됐기 때문이다.

광주시 무등산 도립공원 위원회(위원장 김완기 행정부시장)는 4일 운림온천지구를 둘러보기로 했다. 위원회는 북구청장을 비롯한 자치단체장과 환경단체 대표, 교수, 관계공무원 등 21명으로 구성돼 있다.

이 위원회는 10일께 환경.교통 등 분야별로 소위원회를 구성, 심의에 나설 계획이다.

◇ 운림온천 개발〓운림온천지구는 증심사 입구 주차장 건너편의 옛 제1수원지 일대 12만여평. ㈜프라임월드는 운림온천 개발을 위해 지난 2월 광주 동구를 통해 공원계획 변경안을 신청, 지난달 말까지 결정해줄 것을 요청했다.

이 공원계획 변경안은 온천부지 7만여평에 5개 동.연건축면적 4만6천평의 건물을 신축한다는 것이다.

건축계획은 5백실 규모의 일반.특급호텔과 하루 2천명을 수용할 수 있는 종합온천장, 문화관 등으로 이뤄져 있다.

개발에 따른 비용 2천억원은 외자유치 등을 통해 충당한다는 방침이다.

◇ 회사측 주장〓회사측은 2002년 월드컵 축구대회에 맞춰 완공하자면 착공을 서둘러야 한다는 입장이다.

또 온천개발로 관광 수익을 높일 수 있는데다 2천여명에 이르는 고용창출 효과도 기대할 수 있다고 홍보하고 있다. 1990년 6월 온천지구로 지정됐고 95년께부터 개발하려 했으나 환경단체 반대 등으로 미뤄져 막대한 타격을 입었다는 주장이다.

회사측은 온천개발 반대운동에 앞장서 온 무등산보호단체협의회 김인주 운동본부장을 지난 4월 업무방해혐의로 경찰에 고소하기도 했다.

◇ 개발 반대〓무등산보호단체협의회.환경운동연합.경실련 등 34개 시민단체로 이뤄진 운림온천 개발저지를 위한 시민대책위(공동위원장 김종재 전남대교수)는 집회 등을 통해 개발반대의 강도를 높이고 있다.

대책위는 대규모 온천시설이 들어설 경우 무등산 생태계 파괴가 급속도로 진행될 것으로 보고 있다.

지금도 적정 규모의 5배가 넘는 연간 1천여만명이 무등산을 이용하고 있는 판에 온천 같은 유인시설을 끌어들이는 것은 환경 파괴에 앞장서는 일이라는 것이다.

특히 운림온천지구가 무등산 등산객 70%가 이용하는 관문인 증심사 진입로 주변이라는 점을 강조하고 있다.

광주시의회 교육사회위원회도 최근 "'개발 타당성에 대한 ''시민적 '공론화 과정을 거쳐야 한다" 며 개발 반대의견서를 채택하기도 했다.

한편 광주시 관계자는 "이번 심의가 무등산에 온천이 들어서는 것을 허용할 것인지 여부를 사실상 결정하는 절차이기 때문에 위원들이 신중하게 합의점을 찾아갈 것" 이라고 말했다.

광주〓천창환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