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J·노 정부 때 서울시장·총리였던 고건 대통령 직속 사회통합위원장에 내정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04면

이명박 대통령이 21일 대통령 직속 사회통합위원회(사통위) 위원장에 고건 전 국무총리를 내정했다. 민간위원 31명도 발표했다. 사통위는 계층·이념·지역·세대 등에 따른 사회갈등을 통합하는 문화를 마련하고, 이를 정책화하는 방안을 제안할 대통령 자문기구다.

청와대는 이명박 대통령이 지난 8월 광복절 경축사에서 사통위 설립 계획을 밝힌 직후부터 맹형규 정무특보를 중심으로 위원 선임 작업을 해 왔다. 하지만 인선작업에 어려움을 겪어 4개월여 만에 조직 구성이 마무리됐다. 맹 특보는 “일부 위원들은 삼고초려를 통해 어렵게 모셨다”고 설명했다.

실제 김대중 정부에서 서울시장, 김영삼·노무현 정부에서 두 차례 국무총리를 지낸 고건 전 총리부터 위원장직을 고사했다고 한다. 하지만 대표적 호남인맥으로 꼽히는 데다 지난 대선을 앞두고 한때 이 대통령의 ‘정치적 라이벌’이기도 했던 고 전 총리가 적임이라고 판단한 청와대의 끈질긴 설득에 결국 위원장을 맡기로 했다. 선친이 군산(옥구) 출신인 고 전 총리는 서울에서 출생했지만 전쟁 때 전주에서 중학교(전주북중)를 다녔다. 그는 보도자료를 통해 “ 정치적 중립을 전제로 사통위에 위원장으로 참여하기로 했다”고 밝혔다. 이 대통령도 전화를 해 “좋은 위원회를 만들어 달라”고 당부했다고 한다.

김대중·노무현 정부에서 고위직을 지낸 인사 상당수가 민간위원으로 참여했다. 김명자 전 환경부 장관, 박재규 전 통일부 장관, 김희상 전 비상기획위원장, 라종일 전 주일대사, 문정인 전 동북아시대위원장, 이영탁 전 국무조정실장, 이원덕 전 청와대 사회정책수석 등이 대표적 인사들이다. 민간위원은 지역별로 ▶영남권이 10명으로 가장 많았으며 ▶호남 9명 ▶충청 6명 ▶수도권 4명 순이다. 위원회는 민간위원 32명과 관계부처 장관 등 정부 측 당연직 위원 16명을 합쳐 48명으로 구성된다.

남궁욱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