꽉 찬 항만…텅 빈 공항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경제 02면


그래픽 크게보기

해양물류 수송을 담당하는 항만시설은 턱없이 부족한 반면 공항시설에 대한 사회간접자본(SOC) 투자는 넘쳐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9일 기획예산처가 한나라당 안명옥 의원에게 제출한 '우리나라 SOC 스톡 진단연구'에 따르면 1990년 92.9%이던 항만시설 확보율은 ▶99년 88.4%▶2001년 81.3%▶2003년 72.7%로 매년 떨어지고 있다.

항만을 통해 수출입되는 화물량은 90년 3억5600만t에서 2003년 9억5700만t으로 2.69배 늘어난 데 비해 전체 항만의 하역능력은 90년 2억4100만t에서 2003년 4억8700만t으로 2.1배 증가하는 데 그쳤다.

항만시설 부족으로 처리하지 못한 총 물류량은 90년 1700만t에서 2003년 1억8300만t으로 10배 이상 늘어났다.

해양수산부가 최근 한나라당 박승환 의원에게 낸 자료에 따르면 우리나라의 전체 SOC 투자에서 항만투자의 비중은 ▶70년대 27.1%▶80년대 15.5%▶90년대 10.9%▶2000년대 6.8%로 계속 줄어들고 있다.

반면에 공항시설은 쓸데없이 투자를 늘려왔다. 2003년 공항시설은 처리능력의 22.1%만 실제로 쓰인 것으로 조사됐다. 국내 16개 공항의 항공기 운항처리능력은 214만9000회지만 실제 운항횟수는 47만6000회에 불과했다.

특히 청주.양양.목포.사천.포항.예천.군산.원주 등 8개 지방공항은 운항처리능력의 10%도 쓰이지 않은 채 방치되고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안 의원은 "항만과 공항시설에 대한 투자배분이 주먹구구식으로 이뤄지고 있다"며 "한정된 국가재원을 짜임새 있게 쓰려면 투자대비 효율이 가장 높은 항만에 집중투자해야 한다"고 말했다.

박소영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