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나라-시민단체, 유착설 공방 2라운드]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4면

시민단체와 여권의 유착설이 2라운드를 맞았다.

박관용(朴寬用)부총재 등 한나라당 부산.울산.경남(PK)지역 의원들은 7일 낙천자 명단을 발표한 총선시민연대 등 시민단체에 대해 총공세를 선언했다.

朴부총재는 "시민단체의 낙천 대상자 명단에 PK의원이 집중된 것은 김대중 대통령과 시민단체가 연계해 영남을 죽이려는 의도" 라고 규정했다.

그는 "여권의 속셈은 한나라당을 매도해 영남에서 무소속을 양산시키려는 것" 이라며 "모든 책임을 金대통령이 져야 한다" 고 주장했다.

이들이 제시한 유착설 근거는 두가지. 첫째는 지난해 1백23개 단체에 지원된 정부보조금 1백50억원이 과거에 비해 크게 증가한 규모라는 점이다.

총선연대측이 "정권교체 이전에도 정부 보조금을 받았다" 고 주장하는 데 대해 박종웅(朴鍾雄)의원은 "과거 정권에서의 정부 지원금 규모는 수십개 단체에 평균 1천5백여만원 수준이었다" 며 "1999년에는 신규 지원규모만 1백20개 단체에 평균 1억원꼴" 이라고 주장했다.

이어 노기태(盧基太)의원은 총굻Т肉?가담한 단체가 4백여개에 이른다는 주장도 검증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그는 "양계협회.전업농(專業農)중앙협의회.농산물중도매인연합회 등 직능단체는 스스로 정리했고, '관악산 지키기 시민모임' '국제민주연대' '녹색나눔터' 와 같은 실체가 불분명한 조직이 다수 참여하고 있으며, 지방조직은 중앙의 지부 성격" 이라고 주장했다.

그러나 참여연대 박원순(朴元淳)상임집행위원장은 "유착설은 논리 비약" 이라며 "시민단체에 대한 정부지원은 아직도 부족한 실정" 이라고 했다.

또 "시민단체 대표가 여야의 각종 특위활동에 참여하는 것은 당연한 일 아니냐" 고 했다.

그는 "도대체 시민단체로부터 부적격자로 지적받은 사람들이 무슨 얼굴로 그런 주장을 하는지 모르겠다" 고 목소리를 높였다.

하지만 PK지역 의원들은 2~3일 내에 추가 공세에 나설 태세다.

시민단체 항의 방문이나 각종 폭로전도 검토하고 있어 파장은 계속될 전망이다.

최상연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