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거법 막바지 협상 스케치]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3면

민주당 박상천(朴相千)총무는 30일 자민련 이긍규(李肯珪)총무와 골프를 쳤다.

자민련의 음모론 제기에 따른 양당 공조의 이상기류가 선거법 협상까지 밀려들고 있는 데 대한 위기감 때문이다.

같은 시각 한나라당 이부영(李富榮)총무는 당사에 출근, 막바지 총무협상에 대비했다.

지역구 26곳이 줄어드는 선거구 획정안, 선거법 제87조, 정치개혁입법안을 묶어 처리키로 정한 31일 국회일정을 하루 앞둔 총무들의 모습이다.

◇ 선거법 제87조 개정〓마무리된 상태. 3당 총무들이 29일 오후 5시간30분 동안 롯데호텔에서 마라톤 협상을 벌인 결과다.

민주당은 당 총재인 김대중 대통령의 언급대로 제87조의 전면 폐지를 들고 나왔으나 자민련과 한나라당의 반대에 부닥쳐 일부를 포기.

이에 따라 시민단체의 낙천.낙선운동은 원칙적으로 허용하되 방식과 단체의 범위는 제한하기로 했다.

문제는 정치권의 합의를 시민단체가 수용하느냐다.

◇ 선거구 획정안과 1인2표제〓비례대표 의석을 늘리지 않고, 줄어드는 지역구 수만큼 전체 의원정수를 줄이자는 데는 3당이 잠정 합의.

그러나 위헌(違憲)론을 들어 선거구획정위 안을 받아들일 수 없다는 한나라당의 입장은 완고하다.

반면 민주당은 1인2표제와 석패율(惜敗率)제를 관철하겠다는 입장이다.

자민련의 경우 1인1표제 주장으로 한나라당을 거들었으나 1인2표제도 수용할 수 있다는 입장을 보이는 것으로 알려져 총무협상은 민주당 대 한나라당의 대치상태.

때문에 한나라당이 획정위 안을 수용하고 민주당이 석패율제 등을 양보하는 빅딜설도 나돌고 있다.

반면 시민단체 대표로 획정위에 참여한 박진도(朴珍道)교수는 "지역구 26석 감축안을 양보하거나 정치적 빅딜 가능성을 경고한다" 는 성명을 내 정치권을 압박하고 있다.

◇ 임시국회 회기〓협상이 계속 평행선을 달리면 31일 끝나기로 한 임시국회 회기 연장도 불가피하다.

현행 선거법상 공직사퇴 시한은 선거일전 60일로 돼있어 산술적으론 2월 13일 전까지 선거법 개정이 이뤄지면 된다.

그러나 여야 모두 선거준비가 시급하다는 입장이어서 극적 타결 가능성에 매달리고 있다.

최상연.박승희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