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타미플루, 아이들에겐 부작용 있다는데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04면

신종 플루(인플루엔자A/H1N1)가 전국으로 확산되면서 국민은 불안해한다. 특히 인터넷 등에는 타미플루나 백신에 대한 잘못된 정보가 떠돌기도 한다. 신종 플루 자문위원회 위원인 고려대 구로병원 감염내과 김우주(사진) 교수에게 신종 플루에 관한 궁금증을 물었다.(※표시는 독자의 이해를 돕기 위한 편집자 설명)

-신종 플루 환자가 얼마나 늘었나.

“추석 연휴 이전에는 하루에 고대구로병원을 찾는 외래환자 50~100명 중 10% 정도가 확진환자였다. 그러나 지금은 외래환자 수가 크게 증가했고 그중 절반이 확진환자다.”

-갑자기 환자가 늘어나는 이유는.

“뚝 떨어진 기온 영향이 크다. 바이러스는 기온이 높으면 힘을 못 쓰다 기온이 낮아지면 활개를 친다. 또 우려했던 대로 추석이 확산 계기가 됐다. 추석 연휴로 학교와 회사가 쉬면서 일종의 휴교·휴업 효과를 냈다. 추석 연휴 직후에 신종 플루 발병이 잠시 주춤했던 이유다. 하지만 잠복기(8~10일)가 지나면서 본격적인 확산세를 보이고 있다.”

-환자 상태가 대부분 위중한가.

“아니다. 항바이러스제 타미플루를 복용하면 쉽게 낫는다. 폐렴으로 진행한 환자들도 타미플루를 복용하면 대부분 좋아진다. 특히 해열제로는 떨어지지 않던 고열이 뚝 떨어지는 등 중증일수록 효과가 더 좋다.”(※27일 현재 확진환자 수는 6만 명을 넘어섰지만 사망자는 28명, 합병증으로 중환자실에 입원 중인 환자는 22명, 일반병실에선 820명이 치료 중이다. 전국 472개 거점병원에는 현재 8980개의 격리 병상을 확보하고 있다.)

 -건강한 사람은 타미플루 안 먹어도 낫는다는데.

“타미플루 복용은 환자 본인에게는 치료효과가 있고 집단적으로는 확산을 늦추는 역할을 한다. 집단적인 확산을 막기 위해서라도 신종 플루가 의심되면 의료기관을 찾아 타미플루를 처방받는 게 좋다.”

-타미플루가 아동·청소년에게는 부작용을 일으킨다며 소아과 의사들이 처방을 꺼리는데.

“지금까지 10~20대 환자 300여 명에게 타미플루를 처방했지만 부작용이 없었다. 환자 한 명이 메스껍고 어지럽다고 한 게 전부였다. 그것도 약의 부작용보다는 병 증세인 것으로 보인다.”

-동네의원에서는 감기약, 거점병원에선 타미플루를 처방받았을 경우 감기약과 타미플루를 동시에 복용할 수도 있다.

“그래도 부작용은 없다. 통상 감기약이라는 게 진통해열제와 항히스타민제·진해제 정도다. 이 약들은 타미플루와 상호작용을 일으키지 않는다.”

-신종 플루 백신 접종이 시작됐다. 부작용은 없나.

“성인을 대상으로 한 임상 결과 접종 부위가 아프다든지 가벼운 피로감·두통 이외에는 별다른 부작용이 보고되지 않았다. 일반 계절독감 백신은 겨울철에 유행할 것으로 예상되는 세 가지 바이러스에 대한 항체를 만드는 ‘삼가백신’이지만 신종 플루 백신은 신종 플루 바이러스로만 만든 ‘일가백신’이기 때문에 접종 시 통증도 덜하고 오히려 안전하다.”  

안혜리 기자

▶관련기사 보기 [뉴스 클립] 신종플루 Q&A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