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병민씨 법정구속] 현철씨 측근 추가수사 여부 관심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25면

김현철(金賢哲)씨의 핵심 측근으로 문민정부 시절 막후 실세였던 전병민씨가 13일 전격 법정구속됨에 따라 향후 수사와 공판에 큰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선고를 앞두고 실형선고를 예상한 피고인이 도주할 것을 우려, 법정구속하는 경우는 드물게 있으나 재판시작과 함께 구속하는 것은 극히 이례적인 일.

재판부는 "도주.증거인멸의 우려가 있다" 고 밝혀 田씨가 1년 넘게 검찰 조사에 불응한 채 지난달 8일 재판 첫 기일에도 나오지 않은 점을 감안했음을 시사했다.

검찰에 따르면 田씨의 혐의는 94년 6월 대신증권 이준호(李俊鎬)사장으로부터 광주민방 사업자로 선정되도록 도와달라는 청탁과 함께 사례비조로 15억5천만원을 받았다는 것.

검찰은 田씨를 상대로 돈의 용처나 구체적인 로비대상 등을 조사할 예정이었으나 田씨가 하와이에서 귀국하지 않는 바람에 공소시효 만료일을 며칠 앞두고 田씨를 일단 불구속 기소했다. 법정구속으로 신병이 확보됨에 따라 검찰의 추가 수사가 어디로 튈지도 관심거리다.

특히 그동안 민방사汰?선정과 관련, 현철씨 개입 의혹이 끊이지 않은 만큼 어느 정도의 추가 수사는 불가피하다는 분석이 지배적이다.

게다가 이번 사건에 현철씨의 또 다른 측근인 이성호 전 대호건설 사장까지 개입한 것으로 드러나 김현철-이성호-전병민-이준호의 4각고리가 존재할지가 주목되고 있다. 하지만 검찰은 "별로 밝혀낼 게 없다" 며 추가 수사에 기대하지 않고 있는 눈치다.

田씨는 93년 2월 청와대 정책수석비서관으로 내정됐다가 불분명한 학력과 경력 등으로 전력시비에 휘말렸고, 장인이 고하 송진우 선생의 암살범이란 사실이 폭로돼 임명 3일만에 자진 사퇴했다.

그는 92년 대선 당시 김영삼(金泳三)전 대통령의 비선조직인 '동숭동팀' 을 이끌면서 선거전략과 홍보업무를 담당했으며 '역사 바로 세우기' 등 金전대통령의 정치적 고비마다 감각적인 아이디어를 내 '정책기획의 귀재' '베일 뒤의 재사' 로 불리기도 했다.

한편 이날 공판에서 田씨가 대가성 등 공소사실을 대부분 부인함에 따라 향후 공판에서 치열한 공방전이 예상된다.

이상복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