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북문제 우리가 당사자 … 우리 목소리 내야”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04면

30일 이명박 대통령이 ‘G20(주요 20개국) 정상회의 유치 국민보고 특별기자회견’에서 던진 메시지의 핵심은 우리 스스로를 옥죄어 온 변방적 사고를 털어 내자는 것이었다. 그는 북한 핵 문제와 친(親)서민 정책 등에 대해서도 언급했다.

①“그랜드 바긴, 미국의 아무개가 모른다면 어떠냐”=북핵 문제 해결 복안을 묻는 질문이 나오자 이 대통령의 목소리 톤이 높아졌다. “국제사회에서 우리의 발언권은 늘 미약했다. 항상 남을 따라가고 수동적인 자세를 취해 왔다. 남북 문제는 우리가 당사자 아니냐. 사실 지금까지 우리의 목소리는 없었다. 미국의 안이 뭔지, 중국의 안이 뭔지, 미국 안에 그냥 따라가기만 했다….”

‘그랜드 바긴’(일괄 타결) 제안 직후 커트 캠벨 미 국무부 차관보가 “솔직히 잘 모르겠다”고 말하면서 불거진 한·미 엇박자론에 대해 이 대통령은 불편한 심기를 표출했다.

그는 “미국의 아무개가 자기는 모르겠다고 했다. 미국의 아무개가 모르겠다고 하면 어떤가. 우리는 우리 목소리를 낼 수 있다. 우리의 좋은 안을 (6자회담국에) 설득시켜야 된다”고 했다. 또 “중심된 사고와 우리의 주장, 우리의 목소리를 가져야 한다”며 “우리 경험은 이렇다고 말해야지 뒤에 앉아 듣기만 하고 고개만 끄덕거리는 시대는 지났다”고 역설했다. 그러면서 “그랜드 바긴은 미국·러시아·중국·일본과 사전에 이야기한 것”이라고 강조했다.

②“선거·행정제도 개편이 국민과 소통하는 빠른 길”=개헌, 선거제도·행정구역 개편과 관련된 질문에 이 대통령은 “우리나라 정치의 소통은 없다”며 G20 유치 결과를 야당에 보고하려다 무산된 일을 거론했다. 그는 “정말 정치권에 보고하고 싶어 여야를 모두 불렀지만 사실 거절당했다”며 “정치 문제도 아니고 국가의 미래 문제이자 우리 모두의 문제이기 때문에 보고하고 싶었지만 결국 못 했다”고 안타까워했다. 이 대통령은 “호남에 가면 여당의원 한 사람도 없고 구의원도 시의원도 없다. 또 영남에 가면 야당 국회의원이 없다”며 “국회가 모이면 뭐하나. 모이면 영호남이 만나 충돌하는 것 아닌가. 이대로는 소통 될 수 없다”고 못 박았다.

그는 “선거제도를 어떻게 바꾸라는 것은 제안하지 않겠다”며 정치권이 자발적으로 나설 것을 당부했다. 이어 “선거제도와 행정구역 개편은 정치권에서 이른 시간 내에 협의하는 게 좋겠다. 그것이 나라의 품격을 높이고 국민과 소통하는 가장 빠른 길”이라고 강조했다. 개헌과 관련해선 “정치권에서의 논의를 열린 마음으로 받아들이겠다”고 했다.

③“비즈니스 프렌들리가 서민 프렌들리”=이 대통령은 “취임 후 가장 먼저 대기업 단체(전경련)를 찾아 투자와 일자리를 부탁했다”며 “그것은 ‘비즈니스 프렌들리’(기업 친화)이자 ‘시장 프렌들리’이며, 바로 ‘서민 프렌들리’와 일치한다”고 밝혔다. “대기업들이 사회적 책임을 다하고, 그것이 투자와 일자리를 만든다는 의미에서 ‘비즈니스 프렌들리’는 ‘서민 프렌들리’를 전제로 한다”는 설명도 달았다.

그는 무담보 서민 소액대출을 위한 ‘미소(美少)재단’ 설립을 설명하며 “돈을 뜯기면 어떻게 하느냐고 우려하는 사람도 있지만 300만원·500만원·1000만원 융자받은 사람은 절대 떼먹지 않는다. 오히려 30억원·300억원 빌려 간 사람들이 약간 위험할 수도 있다”고 했다. 보금자리주택 사업에 대해선 “어떠한 투기도 발을 못 붙이게 하겠다”고 다짐했다.

서승욱·김기환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