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또 정략사정 시작하나' 상도동 긴장.침묵.불쾌…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4면

상도동은 침묵으로 대응했다.

대꾸할 필요도 없다는 투다.

김영삼 전 대통령은 26일에도 평소와 다름없이 근교로 산행을 다녀왔다.

그가 어떤 반응을 보였는지는 알려지지 않았다.

상도동의 한 비서관은 "대체 전병민씨와 상도동이 무슨 관련이 있느냐" 며 불쾌해했다.

상도동 '대변인' 노릇을 해왔던 한나라당 박종웅 (朴鍾雄) 의원도 함구로 일관했다.

경제청문회에서 'YS 1백50억원 수수설' 이 터져나왔을 때 적극 변호하던 것과 사뭇 다른 모습이다.

다만 朴의원은 "田씨가 장관을 지낸 사람도 아니고 문민정부 실세는 더욱

아니었다" 면서 "정책기획수석에 내정됐다 취임도 못하고 3일 만에 물러난 사람이 어떻게 민방 허가 등 이권에 관여할 수 있었겠느냐" 며 원론적 방어를 하는데 그쳤다.

상도동측은 그러면서도 여당이 '방송청문회 개최 검토' 로 맞받아치는 등 정치공세를 강화하고 나서자 "여권이 정략적 목적을 위해 민방 카드를 꺼내든 것" 이라고 신경을 곤두세웠다.

朴의원은 "경제청문회에 이어 경제를 망친 책임이 한나라당과 YS에게 있다고 공세를 취해 YS와 야당을 압박하려는 것" 이라고 비난했다.

또 내각제 문제로 꼬여 있는 정치권의 관심을 분산하고 3.30 재.보선을 유리하게 이끌려는 정략적 의도도 있다고 분석했다.

특히 문민정부 시절 권력의 핵에 있었던 민주계 의원들은 "민방 비리를 계기로 또다시 표적사정을 하려는 것 아니냐" 는 우려를 감추지 않는다.

田씨가 金전대통령의 차남 현철씨 등과 함께 집권과정에 깊숙이 개입했던 점 때문이다.

한나라당은 여권 움직임을 예의 주시하면서도 공식반응을 자제하고 있다.

당 대변인실은 26일 논평을 내려다 취소한 채 "지도부와 의견을 나눈 뒤 발표하겠다" 고 신중한 자세를 취했다.

구범회 (具凡會) 부대변인은 개인 자격으로 "경제청문회에서 드러났듯 진상규명보다 정치공세만 일삼는 정치쇼와 같은 방송청문회로 풀려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 고 말했다.

이정민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